
"한동훈, 尹 2분 담화에 속은 것"
"2선 후퇴는 일장춘몽, 혼란 커…‘계엄 지지정당’ 낙인 우려"
"본인 당선된 대선, 국힘 압승 지방선거도 부정인가"
김근식(사진) 국민의힘 서울 송파병 당협위원장(전 비전전략실장)은 9일 ‘12·3 계엄사태 파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통한 직무정지를 재차 주장하며 "탄핵이 되면 가장 투명하고 안정적인 시스템과 스케줄대로 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통령 탄핵 대신 ‘사실상 직무배제’, ‘한덕수 국무총리와 긴밀한 당정협의’ 대안을 낸 한동훈 당대표에 대해선 "대통령의 ‘2분 담화’를 믿고 속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비윤(비윤석열) 성향인 김근식 당협위원장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저는 탄핵(소추안 국회) 가결 찬성, 직무정지 찬성이다. 마지막에 탄핵이 되느냐 안 되느냐는 헌법재판소가 판단할 일"이라며 "왜냐하면 우리 당이 살 길이 그거고 한동훈 대표도 그런 입장을 지난 7일 긴급 최고위에선 잘 잡았다가 8일 대통령의 2분 담화를 믿고 저는 속은 거라고 생각한다. 속은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이 싼 똥을 한 대표보고 치우라고 하고 자기는 한 대표 뒤에 숨은 것 아닌가. 한 대표는 어정쩡해졌다. 탄핵을 찬성했다가 반대했다가, 지금 2선 후퇴를 믿고 국정에 혼란이 없게 하겠다는데 더 국정이 혼란스럽다. 지금 결재를 누가 하겠나.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그만뒀는데 새로 임명을 누가 해야되나 혼란"이라며 탄핵소추 이후 상황관리가 안정적이라고 주장했다.
‘생각이 같은 원외인사, 당협위원장이 많은지’ 진행자의 질문엔 "적지 않게 있다. 저희들도 의견을 좀 모으고 있다"면서도 "다른 생각을 하시는 분도 계시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우리가 (대통령)탄핵이란 절차를 2016년에 한번 밟아봤고, 헌법에 규정된 비상시국에 가장 투명하고 안정적인 장치고 오히려 지금 탄핵을 반대하면 우리가 계엄 지지정당 비슷하게 낙인찍힌다"고 우려했다.
이어 "저 대통령을 보호하기 위해 너덜너덜 우리 당이 상처 입는 것보단 탄핵이란 안정적인 절차에 맡기는 게 저는 오히려 국정 혼란을 덜게 하는 것"이라며 "저는 오히려 지금의 2선 후퇴라는 어정쩡한 불가능한 이 일장춘몽에 빠져 있는 게 저는 훨씬 더 국정의 혼란이 크다. 오히려 질서 있는 퇴진은 탄핵을 통해 국회의원들이 결정할 문제고 시스템대로 가는 거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당원 입장에선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사법리스크) 법원 결론이 나기 전에 대선 무대에 오르는 것 자체에 반감이 클 것’이란 질문엔 "이런 비상시국에선 그런 정치공학적 고려를 하는 건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이재명 변수는 이재명 변수고, ‘이재명이 대법원에서 공직선거법 유죄 판결이 날 때까지 6개월 버텨보자’? 이런 민심의 쓰나미 앞에서 정치공학적 잔기술을 부리면 되겠냐"고 반문했다.
그는 "정도와 원칙으로 가야 되는 것이고 이재명 변수는 이재명 변수다"며 "그런 우리가 사즉생의 각오로 당을 새롭게 세우고 (윤 대통령 탄핵소추로) ‘대통령 리스크’를 분리해내고 친윤 분들도 대오각성하고 그렇게 해서 당이 거듭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되는 거지, ‘이재명 제낄 때까지 어떻게 우리가 좀 버텨보자’하면 한 달도 못 버틴다고 생각한다"고 쓴소리를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윤 대통령이 극우 유튜버들의 총선 등 ‘부정선거’ 주장에 현혹됐단 설엔 "정치 초보자였고 이재명만은 막아야 한다는 민심에 의해 대통령에 당선됐으면 정치를 잘 아는 분들, 좋은 참모를 두고 조언을 받았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다. 고집이 워낙 셌던 데다가 부정선거 괴담이 해악에 중첩됐다"며 "본인이 당선된 대선, 우리 당 압승한 지방선거가 부정선거인가"라고 개탄했다.
그는 "유독 이번에 ‘2024년 국회의원 선거만 부정선거’라는 거다. 그렇게 되면 믿을 수 없는 국정책임자가 된다"며 "총선에 이렇게 참패하고도 ‘내 탓 아니라 부정선거 탓’이라는 것"이라고 했다. 이재명 대표에 관해선 "마치 대통령 된 듯 지금 득의양양한데 저는 아닐 수 있다 생각한다. ‘이재명 있는 민주당’과 ‘윤석열 없는 국민의힘’은 해볼만 하다"며 한 대표에게 대통령 완전 분리와 변화·쇄신을 주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세영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