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부산시정 평가·대안 특별위원회 소속 위원들이 23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실에서 부산시정 표류를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부산시정 평가·대안 특별위원회 소속 위원들이 23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실에서 부산시정 표류를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 시당 특위, 지역 거점 항공사 ‘부산 에어’ 설립 계획, 로드맵 발표
부산시, 에어부산 존치 협의 본격화…대한항공과 소통 강화 입장 밝히자
시민들 “또 다른 정치·사회적 갈등 생길라” 우려하며 ‘상생 정치’ 요구


부산=이승륜 기자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이 통합 저비용항공사(LCC) 본사 부산 유치와 에어부산 분리 매각 우려 속에 갑작스레 지역 독자 거점 항공사 설립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에 부산시는 대한항공의 아시아나 합병 이후 에어부산 존치 협의가 가능하다고 설명하며 협력 강화 입장을 내놓았다. 이를 지켜본 시민들은 향후 지역 거점 항공사 마련 방안을 두고 또 다른 갈등 요소가 생기는 게 아니냐고 우려한다.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부산시정 평가·대안 특별위원회는 “내년 초까지 가덕 신공항 거점 항공사와 관련해 부산시, 대한항공, 국토부와 합의된 성과가 없으면 ‘부산에어’(가칭) 설립을 추진한다”고 23일 발표했다. 특위는 “현실적으로 통합 LCC 본사 부산 유치와 에어부산 분리 매각이 어려워져 거점 항공사도 없이 가덕 신공항이 개항할 수도 있다”며 “이렇게 되면 가덕 신공항이 제 기능을 못 하게 될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에도 큰 도움이 안 되기 때문에 거점 항공사 설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산은 새로운 거점 항공사 설립에 필수적인 항공 전문 인력 수급이 가능하고, 국토부 허가와 투자 유치 등을 충분히 해낼 수 있다”며 “내년 초 부산에어 설립을 위한 시민 토론회를 열어 항공 전문가, 상공계, 시민단체, 학계가 참여해 의견을 수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위는 시민 공감대 형성 이후 시민 투자 방식으로 자본금을 조성하는 등 부산에서 설립을 현실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위는 내년 부산에어 설립을 시작으로, 2026년 운항면허 인가 신청, 항공기 1대 도입 계약과 자본금 확충을 계획하고 있다. 2027년에는 국토부 운항면허 승인과 운항증명 취득 후 1호기를 도입하고, 항공기 2대 추가 계약과 국내선 운항을 시작한다. 2028년에는 2·3호기를 도입하고 국제선 취항을 개시하며, 2029년에는 가덕 신공항에서 장거리 운항을 시작하고 4·5·6호기를 도입한다. 2030년 가덕 신공항 개항과 함께 본격 운항을 시작하고, 항공기 15대 내외를 도입해 국제선 20개 도시로 취항할 계획이다. 최인호 특위 위원장은 “통합 저비용항공사 본사 부산 유치와 에어부산 분리 매각이 사실상 물 건너갔기 때문에 부산 시민의 열망을 담아 부산에어를 설립해 가덕 신공항과 부산 지역 경제 발전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부산시는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주식 인수가 완료됨에 따라 에어부산의 모회사가 된 대한항공과 본격적으로 지역항공사의 존치 문제를 협의할 수 있게 됐다”며, “시는 통합 저비용 항공사 본사 유치 등의 지역항공사 존치 방안을 확정하기 위해 대한항공, 국토부 등과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양측의 입장이 엇갈리자 시민사회에서는 “자칫 지역 거점항공사 설립 방안을 두고 정치적 갈등을 초래하는 게 아닌지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지역의 한 시민은 “정국 혼란 속에서 야당이 지역 이슈를 선점하기 위해 시와 소통 없이 지역 산업과 관련한 정책 추진 방향을 일방적으로 내놓는 것처럼 보인다”며 “시를 패싱하면서 불필요한 갈등을 초래하는 건 아닌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민은 “정국 혼란 속에서 시 주요 현안이 표류하는 것에 대해 지역 정치권이 비판적 목소리를 내는 건 이해한다”면서도 “지역 발전을 위해 여당 출신 시장과 상생하는 모습을 보여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오전 특위 소속 위원들은 부산시의회 브리핑실에서 부산시정 표류를 비판하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이승륜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