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고 등서 보관하다 시위 등장
25대 동원됐다가 10대만 진입
윤석열 대통령 구속을 촉구하며 상경 시위에 나선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의 트랙터 중 일부가 문재인 정부 때 전농 주도로 북송(北送)을 하려다가 실패한 이른바 ‘통일 트랙터’인 것으로 드러났다. 통일 트랙터들은 이후 창고 등에 보관돼 오다가 이번 시위에 대거 동원됐다.
23일 경찰 등에 따르면, 전농 전봉준투쟁단은 빨간색 트랙터 10대를 몰고 전날 오후 서울 도심에 진입해 시위를 벌이고 있다. 당초 트랙터 25대와 화물차 50여 대를 동원했으나, 서울 남태령고개에서 경찰과 약 28시간 대치 및 협상한 끝에 트랙터 10대만 서울로 진입하기로 했다.
상경시위에 동원된 일부 트랙터들은 전농이 2019년 북송을 위해 10억 원을 들여 27대를 구매했다가 대북 제재로 보내지 못하고 보관 중이었던 물건인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시위 현장에선 2019년 사용된 파란색 글씨 ‘대북제재 해제’ 펼침막 스티커가 그대로 붙은 트랙터가 발견되기도 했다.
이 트랙터들은 옛 동양물산기업(동양물산·현 TYM)의 2019년 모델로, 생산 당시 디자인과 로고 그대로다. 전농은 당시 대당 약 4000만 원에 통일 트랙터 27대를 구입했다. 구입 예산은 전남 영암·보성·장흥군 및 경기 안성시 등 지방자치단체 4곳 보조금 1억 원과 ‘통일 농기계 품앗이운동’ 모금 비용이 쓰였다. 통일 트랙터는 2019년 4월 27일 판문점선언 1주년에 임진각 전국농민대회에서 첫선을 보였으며 유엔 대북 제재로 북송에 실패했다. 한국폴리텍대 경기 북부 캠퍼스 예정지, 민간인 통제구역 도라산역 물류창고로 이동한 이후 한동안 자취를 감췄다.
트랙터 업계 관계자는 “트랙터는 브랜드별로 다른 색을 쓰는데, ‘빨간색’은 TYM 고유색으로 전농은 TYM에서 트랙터를 27대 구매했으며 트랙터는 군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전략물자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군이 이용할 수 있다는 이유로 당시 물의를 빚었으며 순수 농사와는 무관한 정치성 이벤트로 구입한 통일 트랙터가 반정부 시위용으로 활용된 셈이다.
정충신 선임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