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연구원 “보호무역주의 우려
업계 위해 특화된 지원 필요”


한국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온 자동차 수출이 내년에는 ‘시계 제로’의 불확실성에 놓일 전망이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편 관세 부과 등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변수를 고려하면 내수는 물론 수출까지 흔들릴 수 있어 한국 자동차산업을 위한 특화 지원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23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이 발표한 ‘국내외 자동차산업 현황 및 2025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국내 완성차 시장의 내수는 164만6000대로, 올해(167만6000대)와 비교해 1.7%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수출은 281만8000대로 올해(278만7000대)보다 1.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보고서는 이 같은 전망치가 판매량 추이·경기·인구 구조·물가 외 기타 변수는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가정하에 나온 ‘중립 시나리오’(정량분석)라며, 새롭게 예상되는 환경적 변화를 반영하면 수출도 불확실성에 노출돼 있다고 진단했다.

가장 큰 변수는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꼽혔다. 한국 자동차 수출의 대(對)미국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트럼프 당선인이 내년 취임 후 단기간 내 보편 관세를 부과하면 수출에는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됐다. 중국 완성차 업체들이 유럽·동남아·남미·중동 등으로의 진출을 확대함에 따라 직접 경쟁을 벌이고 있는 한국의 신흥 시장 개척이 쉽지 않은 가운데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관세 악재가 발생하면 수출에는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다양한 환경 변화 요인들을 고려할 때 내수는 정량분석 대비 소폭 긍정적인 흐름이, 수출은 다소 부정적인 흐름이 예상된다”며 “자동차 산업이 갖는 부가가치·고용 등 효과를 감안해 개별소비세 인하·감면, 친환경차 보조금의 규모 유지 등 특화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민간 차원에서도 중국과의 경쟁 심화에 대응하기 위한 생산방식 혁신·공급망 효율화·신기술 연구·개발(R&D) 등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근홍 기자 lkh@munhwa.com
이근홍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