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 중이던 방콕발 무안행 제주항공 여객기가 활주로를 이탈, 구조물 등을 충돌해 기체가 불타고 있다. 무안소방서 제공. 뉴시스
29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 중이던 방콕발 무안행 제주항공 여객기가 활주로를 이탈, 구조물 등을 충돌해 기체가 불타고 있다. 무안소방서 제공. 뉴시스


1993년 해남 아시아나 추락 시 66명 사망 2배 넘어
역대 국내 항공기 사고로는 3번째로 희생자 많아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7C2216편 여객기 사고는 국내에서 발생한 항공기 사고 중 가장 많은 인명피해를 낸 ‘최악의 참사’로 남게 됐다.

29일 오후 9시 7분 기준 제주항공 여객기 사망자는 179명으로 집계됐다.

제주항공 7C2216편에는 승객 175명, 객실 승무원 4명, 조종자 2명 등 총 181명이 타고 있었다.

사고 직후 부상을 입고 구조된 승무원 2명을 제외한 모든 탑승객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참사는 국내에서 발생한 항공기 사고 중 최다 인명 피해 기록을 갈아치웠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생해 인명 피해가 가장 컸던 사고는 1993년 전남 해남군에서 발생한 아시아나 여객기 추락 사고로, 당시 66명이 숨졌다.

이번 제주항공 사고는 역대 국내 항공기 사고로도 3번째로 많은 희생자를 남겼다.

역대 국내 항공기 사고 중 가장 인명 피해가 컸던 사고는 1983년 옛 소련의 캄차카 반도 근해에서 대한항공 보잉747기가 소련 전투기에 피격된 사고다. 당시 탑승객 269명이 전원 사망했다.

두 번째로 많은 희생자를 낸 사고는 1997년에는 괌에서 발생한 대한항공 B747-300기 추락 사고다. 당시 225명이 사망했다.

한편, 제주항공 7C2216편은 이날 오전 9시 3분쯤 랜딩기어(비행기 바퀴)가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무안공항 활주로에 ‘동체 착륙’을 시도하다가 외벽과 충돌해 기체 대부분이 화염에 휩싸이는 사고를 당했다.

오남석 기자

관련기사

오남석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