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3년 해남 아시아나 추락 시 66명 사망 2배 넘어
역대 국내 항공기 사고로는 3번째로 희생자 많아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7C2216편 여객기 사고는 국내에서 발생한 항공기 사고 중 가장 많은 인명피해를 낸 ‘최악의 참사’로 남게 됐다.
29일 오후 9시 7분 기준 제주항공 여객기 사망자는 179명으로 집계됐다.
제주항공 7C2216편에는 승객 175명, 객실 승무원 4명, 조종자 2명 등 총 181명이 타고 있었다.
사고 직후 부상을 입고 구조된 승무원 2명을 제외한 모든 탑승객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참사는 국내에서 발생한 항공기 사고 중 최다 인명 피해 기록을 갈아치웠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생해 인명 피해가 가장 컸던 사고는 1993년 전남 해남군에서 발생한 아시아나 여객기 추락 사고로, 당시 66명이 숨졌다.
이번 제주항공 사고는 역대 국내 항공기 사고로도 3번째로 많은 희생자를 남겼다.
역대 국내 항공기 사고 중 가장 인명 피해가 컸던 사고는 1983년 옛 소련의 캄차카 반도 근해에서 대한항공 보잉747기가 소련 전투기에 피격된 사고다. 당시 탑승객 269명이 전원 사망했다.
두 번째로 많은 희생자를 낸 사고는 1997년에는 괌에서 발생한 대한항공 B747-300기 추락 사고다. 당시 225명이 사망했다.
한편, 제주항공 7C2216편은 이날 오전 9시 3분쯤 랜딩기어(비행기 바퀴)가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무안공항 활주로에 ‘동체 착륙’을 시도하다가 외벽과 충돌해 기체 대부분이 화염에 휩싸이는 사고를 당했다.
오남석 기자
관련기사
-
[속보]1월 4일까지 국가 애도기간…정부, 무안군 ‘특별재난지역’ 선포
-
10세도 안된 아이가 5명…연말 가족여행이 ‘참극’으로
-
항공기 추락 목격자 "착륙중 새떼와 충돌후 엔진서 불길 보여"
-
[속보]"조종사 메이데이 선언 후 2분 남짓 후 사고"
-
"내가 여기에 왜 왔나요"…무안공항 여객기 사고 생존 승무원
-
제주항공 사고 동일 보잉기, 국내서 총 101대 운항 중
-
[속보]제주항공 “현재로선 사고 원인 가늠 어려워…사고수습·가족 지원에 최선”
-
[속보]무안공항 여객기 사고 생존자 2명은 승무원...꼬리칸에서 구조
-
‘통곡’의 광주·전남…희생자 10명 중 9명이 지역민
-
생존 승무원 2명 모두 서울 병원 이송…"대화 가능한 상태"
-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생존 승무원, "조류충돌 추정, 한쪽엔진 연기 후 폭발"
-
[속보]사망 176명 확인…3세 남아 포함·10대 탑승객도 15명
-
형체도 알아보기 힘든 기체 "너무 참담해서 몸이 덜덜"…산산조각, 꼬리만 남아
-
외교장관 "태국인 2명 포함 수많은 생명 잃어…진심 어린 애도"
-
바이든, 여객기 참사에 "깊은 슬픔 느낀다"…각국 정상 애도·위로
-
尹, 무안 공항 참사에 "유가족께 깊은 애도…정부가 최선 다할 것"
-
"깊은 위로..재발 방지 총력을" 무안공항 참사에 종교계도 애도 메시지
-
"희생자 극락왕생 발원" 조계종 총무원장 무안공항 참사에 애도 표명
-
"충격" "비극"…제주항공 참사에 각국 정부·항공업계 애도 물결
-
“한국 국민 깊은 슬픔의 시기… 함께 할 것”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