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警, 무안공항 이틀째 압수수색
국토부, 로컬라이저 뒷북 대책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 원인으로 콘크리트 둔덕 위에 설치돼 있던 로컬라이저(방위각 시설)가 지목되면서 관련자의 중대시민재해 처벌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콘크리트 상판 덧대기 공사 등 국토교통부의 안전 불감증과 책임 소홀 정황도 속속 드러나고 있다.
3일 오전 무안공항에 대한 압수수색을 이틀째 진행한 경찰은 사고 원인 조사를 거쳐 인적 요소가 확인될 경우 업무상과실치사상과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를 적용할 예정이다. 콘크리트 둔덕의 규정 위반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어, 사고와의 직접적 인과관계가 확인될 경우 한국공항공사 등 관련자의 중대시민재해 처벌이 검토될 전망이다. 국토부는 콘크리트 둔덕 위에 콘크리트 상판을 덧대는 공사가 진행될 때도 그 위험성을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무안공항 현장 실사 뒤 작성된 용역보고서를 비롯해 수차례 ‘부러지기 쉬운 재질’에 대한 권고가 있었지만 이를 간과한 셈이다.
조재연·이승주 기자
관련기사
-
규정 어긴 ‘콘크리트 둔덕’ 중대시민재해 처벌 거론
-
[단독]참사 키운 무안공항 둔덕… 설계땐 ‘부서지게’, 시공땐 ‘콘크리트’
-
무안참사 희생자 휴대폰·태블릿 107대 포렌식… ‘사고 재구성’ 나선다
-
참사 여객기 ‘2시간 분량 음성파일’ 온전하게 확보… “기계 외 문제 파악”
-
반대편이 더 길고 둔덕 없는데…사고기 운명 가른 무안공항 활주로
-
무안공항 사고기 ‘음성기록’ 내일 확보… 급박했던 3분·랜딩기어 미스터리 풀릴까
-
국제항공기준 17명인데… 관제사 7명뿐인 무안공항
-
[단독]오전 9시 조류충돌사고 많은데… 퇴치팀 교대하는 공항들
-
경찰, 무안공항 사무실 등 압수수색…사고원인 규명 본격화
-
무안공항, 지난해 이용객 34만 명 불과…‘무늬만 국제공항’
-
[속보]비상착륙, 기장-관제탑 간 합의…착륙시까지 교신 있었다
-
“철새 밥 줘서 무안 여객기 참사 나”…마녀사냥 판치는 유튜브
-
철새 150만 마리 오는데…'제2의 무안 여객기 참사' 우려 커진다
-
착륙 순간 포착된 기장의 ‘쭉 뻗은 손’… “최선 다하셨다” 울컥
-
“기장님 편히쉬세요”
-
무안공항 7년 조종사 "콘크리트 둔덕 있는지 몰라, 흙더미인줄"
-
현직 기장들이 말하는 제주항공 참사 ‘마지막 순간’... “죽기 직전까지도 최선 다했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