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을 지키는 열두 수호신 가운데 여섯 번째 뱀 신.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땅을 지키는 열두 수호신 가운데 여섯 번째 뱀 신.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 민속박물관 등 ‘3色 전시’

2025년 을사년(乙巳年)은 ‘푸른 뱀의 해’. 푸른 뱀은 새로운 시작, 지혜로운 변혁, 성장과 발전의 의미로 해석된다. 뱀을 바라보는 한국인의 감정은 양가적이다. 뱀은 날카로운 송곳니와 독이 있고 길고 유연한 몸에 털이 없어 친근한 반려동물로 여겨지지는 않는다. 하지만 동시에 전통적 의미에서 뱀은 불사와 영생, 풍요와 다산, 그리고 지혜를 상징한다. 이 때문에 한국인은 뱀을 퇴치하기 위한 방법을 마련하면서도 일부 지역에서는 집과 재물을 지켜주는 수호신으로 삼기도 했다.

푸른 뱀의 해를 맞아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만화박물관에서는 각 박물관의 특징을 살려 각각의 푸른 뱀 삼색 전시가 열리고 있다. 국립민속박물관은 모든 일이 잘되면 좋겠다는 기원을 담은 사자성어 ‘만사형통(萬事亨通)’에 뱀(巳)의 이미지를 접목해 특별전 ‘만사형통(萬巳亨通)’을 개최 중이다. 전시는 뱀에 대한 인간의 복합적인 인식을 두루 살펴 전 세계의 뱀 관련 민속문화를 소개한다. 한국에서는 쉽게 접하기 어려웠던 아프리카 바가족의 신줏단지와 스리랑카 지역의 뱀 조각 가면, 멕시코 아스테카 문명의 캘린더 스톤 등 각국의 뱀 관련 민속 유물이 총집합했다. 3월 3일까지.

국가유산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는 교수진과 41명의 학생이 함께 참여해 전통 기법과 재료로 창조한 전통 회화를 선보이는 기획전시 ‘청사진(靑巳進)’을 준비했다. 전통 윷놀이에 사용되는 윷을 푸른 뱀과 현무가 휘감고 있으며 전통 문양인 단청으로 장식한 이수영의 ‘보드게임’, 푸른 뱀이 휘감은 벚나무의 아름다운 조화를 통해 번영과 재생의 에너지를 뿜어내는 하현주의 ‘청사초롱’, 서산 개심사 영산회괘불탱을 모사한 ‘영산회괘불도’ 등이 눈길을 끈다. 오는 6일까지 서울 종로구 갤러리 라메르에서.

경기 부천시에 위치한 한국만화박물관은 신년 카툰전 ‘청사(靑蛇), 초롱초롱’을 연다. 8개국 63명의 만화가가 참여했으며 다양한 시선으로 바라본 푸른 뱀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작가들은 뱀의 매끄러운 곡선과 예리하게 번뜩이는 시선을 포착해 작품에 녹였다. 무엇보다도 푸른 빛에서 느껴지는 차분하면서도 강렬한 에너지를 새해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관람객들에게 전해준다. 3월 2일까지.

장상민 기자 joseph0321@munhwa.com
장상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