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국무회의서 최종결정

당정이 8일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전격 지정한 것은 내수부진에 비상계엄 사태,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까지 겹쳐 경기침체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부처 의견을 반영한 결과로 알려졌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 경제 안정’ 고위 당정협의회에서 “정부 여당은 내수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의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부차적으로 명절 연휴 기간 확대로 인한 교통량 분산효과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정부가 14일 국무회의에서 임시공휴일 지정안건을 의결하면 25~26일 주말과 28~30일 설 연휴까지 엿새간 휴일이 가능해진다.

정부는 이 기간 관광 활성화 등 소비 진작을 통해 내수가 회복세로 돌아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연휴 기간 경제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얼어붙은 내수 심리가 회복되길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지난 2020년 현대경제연구원이 분석한 임시공휴일의 경제적 파급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생산유발액 4조2000억 원, 부가가치 유발액 1조6300억 원 등 효과가 있었다.

임시공휴일 지정에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내수 살리기’ 의지도 크게 반영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대통령실과 정부는 지난해 11월 말 열린 내부 회의에서 설날 임시공휴일을 지정하지 않기로 결론 내렸지만 이 방침도 전격 선회했다. 당시 대통령실은 임시공휴일을 지정하더라도 해외 여행객 증가로 내수 진작 효과가 크지 않고 병원 휴무로 의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비상계엄 사태 이후 경제 문제가 크게 달라진 상황을 고려했다”고 했다.

최 권한대행은 야당을 중심으로 탄핵 시사 및 고발 등 정치 공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경제 회복에 방점을 두고 당정과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김규태 기자 kgt90@munhwa.com

관련기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