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전시회 ‘소비자가전쇼(CES) 2025’가 막을 올린 7일 오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센트럴홀에 관람객들이 입장하고 있다.  공동취재단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전시회 ‘소비자가전쇼(CES) 2025’가 막을 올린 7일 오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센트럴홀에 관람객들이 입장하고 있다. 공동취재단


보쉬, 차세대 배터리 생산 설비
AI 기반 엔진 탑재해 품질 상승

LG전자, 카메라가 운전자 감지
실시간으로 심박수까지 측정해

대동, 농업 로봇·재배기 등 전시


7일(현지시간) 개막한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전시회 ‘소비자가전쇼(CES) 2025’에선 다양한 산업군에 특화한 이른바 ‘버티컬 인공지능(AI)’ 기술이 대거 공개됐다.

버티컬 AI는 범용으로 사용됐던 거대언어모델(LLM) 등을 특정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일종의 ‘맞춤형 AI’다. 배터리·전장·농업·건설 등 전방위 영역으로 제품군이 확장하면서 기업들의 AI 수익화가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평가가 나온다.

보쉬 부스 내 AI 엔진 기반 차세대 배터리 생산 설비 시스템.
보쉬 부스 내 AI 엔진 기반 차세대 배터리 생산 설비 시스템.


이날 CES 행사가 진행된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센트럴홀에 들어선 독일의 자동차 부품사 보쉬 부스에는 차세대 배터리 생산 설비 시스템이 축소된 모형으로 설치돼 관람객 이목을 집중시켰다. 대표적인 버티컬 AI 사례 중 하나로 꼽히는 이 시스템은 AI 기반 엔진이 탑재돼 생산공정 전반에 대한 품질 모니터링 및 제어 기능을 대폭 끌어올린 것이 특징이다. 보쉬는 또 생성형 AI가 자율주행시스템을 학습시키는 솔루션도 공개했다. 도로 상황에 맞춰 AI가 차량을 자동으로 훈련하는 기술로,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보쉬 관계자는 “AI가 접목된 솔루션으로 생산성이 대폭 향상됐다”고 말했다.

LG전자 부스에선 운전자 및 차량 내부 공간 감지 솔루션인 ‘인캐빈 센싱’이 주목받았다. 가전과 AI 홈 기술을 기반으로 차량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AI 기반 카메라가 운전자의 시선·표정 등을 추적해 졸음 감지, 실시간 심박수 측정, 안전벨트 착용 인식 등을 파악하며 교통사고를 예방한다. AI가 주행 중 외국어 교통표지판의 실시간 번역을 제공하는 기능도 갖췄다.



이탈리아 업체 아그라티 그룹이 설립한 합작법인 톡보는 자사 이름을 딴 건물 구조 모니터링·진단 시스템을 공개했다.

톡보 시스템은 건축 구조물의 상태 이상 징후를 조기에 탐지할 수 있는 기술로 AI가 진단을 담당한다. 외부에서 건물 구조나 노후 정도, 위험 수위 등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가능해 효과적인 건물 관리 솔루션으로 평가받았다.

대동은 국내 농기계 업체 중 최초로 CES에 부스를 열고 AI 기반의 다기능 농업 로봇과 식물 재배기 등을 전시했다. 농업 로봇은 탑재된 AI가 사람의 음성을 이해하고, 주변 환경을 스스로 인지해 다양한 작업을 직접 판단하고 수행한다. 식물 재배기는 AI와 농업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농업 솔루션 ‘스마트 파밍’ 기술을 활용해 생육 환경을 자동 조절하고 상태를 분석해 수확 시기를 예측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인 신유열 롯데지주 부사장이 대동 부스를 찾아 10분가량 관계자 설명을 들으며 제품을 유심히 관찰하기도 했다.


라스베이거스=글·사진 김성훈 기자 powerkimsh@munhwa.com

관련기사

김성훈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