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전한 食·醫·藥, 국민건강 일군다 - 식약처 ‘푸드QR’ 본격화
식품 이력 추적관리기록 자동화
알레르기 유발물질 등 확인가능
제조·유통·판매·소비단계 적용
연간 1413억원 경제효과 발생
美·中·日 등 5개국서 활용 계획
정부가 식품 정보를 식품 포장지 겉면에 표기하는 대신 2차원 바코드인 QR코드를 이용해 실시간 식품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푸드QR’을 실시한다. 민간·정부 식품정보를 통합하고 글로벌 최신표준인 푸드QR로 연결해 국민·기업·정부가 함께 활용하도록 할 방침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2년 9월부터 식품 정보를 스마트폰에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푸드QR 시범 사업을 추진해왔고, 지난해 11월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식약처는 국정과제 ‘안심 먹거리와 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 세부과제 중 하나로 푸드QR 도입을 추진해 왔다. 푸드QR은 식품 제조·유통·판매·소비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단일 2차원 바코드 체계로 기존 유통바코드와 내용과 기능은 동일하지만 웹주소 형태로 구성돼 인터넷 연결을 통한 정보 확인을 지원한다. 푸드QR코드에는 식약처 인터넷 주소, 상품바코드, 소비기한, 일련번호, 품목보고번호 등 정보가 포함된다. 유통물류를 비롯한 전 산업 상품 식별용 바코드 등 표준화를 주도해온 민간 국제표준기구인 ‘GS1’과 호환되는 바코드를 사용한다. 푸드QR 구축비는 약 50억 원이다. 2024∼2026년 단계적인 구축을 목표로 한다.

해외 국가에서도 활용이 가능해 식품 수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식약처는 주요 식품 수출국가인 미국, 중국, 일본, 홍콩, 베트남 등 5개국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연내 해외용 푸드QR 기능을 추가할 계획이다. 현재 다국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상태다. 식약처는 올해 상반기 중 해외용 푸드QR 개발 참여 업체를 모집해 선행적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할 예정이다.
◇디지털화로 생산·유통 자동화… 소비자 건강 정보 접근성↑= 제조 공정에서 푸드QR을 인쇄하는 경우 표준 정보 항목을 반영해 제조·유통을 자동화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존엔 생산품 고유번호가 인쇄됐지만 제조·출하 과정에서 푸드QR을 스캔해 식품이력추적관리정보를 자동 등록할 수 있다. 식품이력추적 외에도 제품 가격계산, 수어영상 링크, 제품 판촉이벤트 등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다. 푸드QR 정보체계가 없을 때엔 디지털 정보 전달을 위해 바코드 여러 개를 포장지에 표시해야 했다. 식약처는 이로 인해 생산·유통 자동화로 비용을 절감하고 조리법 등 추가 정보 제공 마케팅으로 제품 판매가 증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건강 정보 접근성도 높아진다. 그간 식품 제조사가 제품 원재료를 변경하거나 같은 가격에 기존 제품 크기나 수량을 줄이는 슈링크플레이션 등 ‘눈속임’을 하면 알기 어려웠다. 푸드QR을 스캔하면 변경이력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위해 식품 문제가 발생했을 때 대처도 쉬워진다. 소비자는 먹고 있는 식품의 푸드QR을 스캔해 안전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스캔한 제품의 회수 여부를 볼 수 있다. 이 외에도 제품의 원재료, 알레르기 유발 물질, 영양소 정보, 소비기한 및 주의사항, 조리법 등 식품과 관련한 모든 정보를 스마트폰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포장지가 작아 표시가 없거나 글씨가 작아 보기 어려운 경우 휴대전화로 글자크기, 색상 등을 잘 보이게 설정해 내용을 볼 수 있다. 온라인에서 식품을 구매하는 경우 상품 정보란의 푸드QR버튼(인터넷 링크)을 클릭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유민우 기자 yoome@munhwa.com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