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at

매킨리 암살 이후 경호업무


백악관에 재입성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 대선 과정에서 암살 위기를 두 차례 넘겼다. 지난해 7월 펜실베이니아주 버틀러 유세장에서 괴한이 쏜 총탄이 오른쪽 귀를 스치는 데 그쳐 기적적으로 살았다. 2개월 뒤인 9월 플로리다주 팜비치 골프장에서도 암살 미수 사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트럼프 당선인의 경호를 맡은 비밀경호국(SS·Secret Service)의 경호 실패론이 불거지기도 했다.

한국의 대통령 경호처와 유사한 비밀경호국은 미국 국토안보부 산하 연방기관이다. 비밀경호국은 전·현직 대통령과 그 가족 등 정부 최고위급 인사들의 근접 경호를 맡고 있다. 한국과 달리 대통령 직속이 아닌 국토안보부에 소속된 것은 대통령 권력 비대화를 막기 위한 것이다.

당초 비밀경호국의 업무는 대통령 등 요인 경호가 아닌 위조지폐 관련 사건 조사가 주였다. 1865년 에이브러햄 링컨 당시 대통령이 남북전쟁 이후 급속히 늘어난 위조지폐 사건 수사를 위해 재무부에 비밀경호국을 설치한 것이다. 비밀경호국은 연방보안청이 모든 범죄를 다룰 여력이 없자 불법 도박 수사나 은행·열차 강도 등 강력범죄 사건에 대한 수사도 맡았다.

비밀경호국이 공식적으로 대통령 경호업무를 맡게 된 것은 1901년 윌리엄 매킨리 당시 대통령이 뉴욕에서 무정부주의자에게 암살된 이후다. 당시 대통령 경호인력이 지역 경찰 3명에 불과했던 사실이 드러나면서, 의회가 비밀경호국에 대통령 경호를 공식 요청했기 때문이다. 대통령과 대통령 당선자로 한정됐던 경호 대상은 점차 대통령의 직계가족, 전직 대통령 부부와 16세 미만 자녀, 부통령 부부, 미국을 방문하는 국외 주요 인사 등으로 확대됐다.

이처럼 업무는 늘어나고 있지만 비밀경호국은 인력난을 겪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비밀경호국의 사표 제출자가 급증해 인력난이 위험 수준이라고 전했다. 7800명 수준인 비밀경호국 요원 중 1400명이 지난 2022∼2023년에 사직했다. 이는 20년간 비밀경호국의 인력 유출 중 최대 규모다.

이종혜 기자 ljh3@munhwa.com

관련기사

이종혜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