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시 ‘트럼프 시대’
트럼프 “중국산 10% 추가관세”
중국, 자원 무기화 등으로 대응땐
양국 디커플링 더 가속화할 듯
베이징=박세희 특파원 saysay@munhwa.com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에서 디리스킹(위험 제거) 수준으로 관리돼왔던 미·중 관계는 ‘트럼프 2기’에서는 완전한 디커플링(탈동조화)으로 격화할 전망이다. 경제 위기에 빠진 중국이 이에 어떻게 대응할지가 관건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취임 후 중국에 대한 경제적 압박을 바이든 행정부 때보다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60% 관세를 매기겠다고 공약한 트럼프 당선인은 취임을 두 달 앞둔 지난해 11월 25일 트루스소셜을 통해 1월 20일 취임 당일 중국 제품에 10%의 관세를 더 부과하겠다고 직접 예고했다. 미국 시장에 전례 없는 접근을 할 수 있게 해준 최혜국 무역국 지위도 철회하겠다는 게 트럼프 당선인의 입장이다.
중국 국제문제연구소(CIIS)의 션야메이(沈雅梅) 연구원은 “새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우선주의’에 더 중점을 두고 경제면에서 일방적인 민족주의적 태도를 보일 것이며, 이는 중·미 관계를 새로운 ‘고위험 시기’로 몰아넣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중국이 트럼프발 무역 강공에 자원 무기화, 공급망 차단 등으로 대응한다면 디커플링은 더욱 가속화할 전망이다.
다만 중국이 현재 심각한 경제 위기에 직면해있는 점을 고려하면 중국이 디커플링을 막기 위해 미국과의 대화에 적극 나설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은 미국이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전에 공식적인 의사소통 채널을 구축해 이를 막으려 할 것”이라고 전했다. 장위옌(張宇燕) 중국 사회과학원 학부위원 겸 중국세계경제학회 회장도 최근 한 토론회에서 “트럼프 당선인은 중국에 6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했는데, 중국과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을 합치면 전 세계의 40%를 초과하는 상황에서 세계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다”라며 “협상의 여지가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중국이 트럼프 당선인의 귀환에 대비해 준비를 착실히 해왔다는 자신감 어린 분석도 중국 내부에서 나온다. 중국 런민(人民)대 충양금융연구원의 왕원(王文) 원장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이어진 중국 억제 기조는 중국이 내부 단결을 강화하도록 만들었다”며 “중국은 트럼프의 복귀를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국제사회의 파트너와 협력 관계를 확대하도록 하는 효과적인 무기로 바라봐야 한다”고 했다. 전직 외교관이자 푸단(復旦)대 런샤오(任曉) 교수는 “중국은 4년간의 경험으로 트럼프를 이해하게 됐다”면서 “우리는 자신 있고, 준비도 돼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트럼프 2기에 대비해 최근 글로벌 사우스(주로 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과 개발도상국 통칭)와의 경제적 협력관계를 강화하고 유럽, 한국, 일본과의 관계 개선에 적극 나서는 등 국제적 협력 관계를 다방면으로 확대 구축하는 데도 집중하고 있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