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타냐후, 특사 회담후 휴전합의
친이스라엘 기조 영향 고려한 듯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온갖 회유와 압박에도 휴전 대신 가자지구 확전만을 고집했던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압박 한 번에 휴전을 수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무는 권력’인 바이든 대통령보다 ‘뜨는 권력’인 트럼프 당선인의 발언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는 물론 네타냐후 총리에게도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바이든 대통령에 비해 친이스라엘 기조를 보여온 트럼프 당선인과 척을 질 경우 미국과의 외교관계는 물론 극우파 지지로 유지되는 권력에도 악영향이 미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15일(현지시간) 타임스오브이스라엘은 2명의 아랍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당선인이 임명한 중동 특사인 스티브 위트코프와 네타냐후 총리가 지난 11일 이스라엘 예루살렘에서 가졌던 회담이 이번 휴전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이들 소식통은 해당 회담의 분위기가 ‘긴박했다(tense)’고 표현하며 “위트코프 특사가 진행한 단 한 번의 회담이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해 내내 쏟았던 노력보다 네타냐후 총리를 더 효과적으로 설득했다”고 설명했다. 회담 당시 위트코프 특사는 네타냐후 총리에게 협상 합의에 핵심적인 조항들을 받아들일 것을 요구했고, 이틀 뒤인 13일 이스라엘과 하마스 측 협상팀은 휴전 및 인질·수감자 교환 협상에 ‘원칙적’ 합의를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상황을 두고 바이든 대통령의 수차례 경고, 이스라엘 전시내각 해체, 국제형사재판소(ICC)의 전쟁범죄 혐의 체포영장 발부 등 각종 악재에도 아랑곳하지 않던 네타냐후 총리에게 제동을 건 가장 큰 요소는 트럼프 당선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네타냐후 총리는 바이든 대통령이 가자지구 남부 라파에 대한 지상군 투입에 반대했던 것을 무시하고 전쟁을 키운 것은 물론, 바이든 대통령의 경고에도 레바논에 지상군까지 투입한 바 있다. 또 바이든 대통령의 전쟁 확대 비판에 “무슨 소리를 하는지 정확히 모르겠다”며 맞받는 등 험악한 상황을 갖기도 했다.

박상훈 기자 andrew@munhwa.com

관련기사

박상훈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