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스권 탈출’ 모색
이재명, 강경 일변도에 역풍
중도층·2030 등 ‘반감’ 커져
친명계 “조기대선 대책 시급
민생중심으로 당 전략 수정을”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특별검사법 추진 등 ‘강경 드라이브’를 이어온 더불어민주당이 일부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에 오차범위 내 역전을 허용했다는 조사가 나오면서 전략 수정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특히 ‘비호감도’가 높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중도층 지지율이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는 데다 취약점인 20대 지지율에서도 고전하고 있어 조기 대선 국면에서 야권 주자들의 경쟁도 본격화할 전망이다.
17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대표는 차기 유력 주자 가운데 여전히 지지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나 수치는 ‘30% 박스권’에 갇혀 있다. 전날(16일) 나온 전국지표조사(NBS)에서는 28%까지 떨어졌다. 비상계엄을 선포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통과시켜 보수 진영을 벼랑 끝 위기에 몰아넣는 데 성공했지만, 한덕수 국무총리 등을 겨냥한 ‘줄 탄핵’과 위헌 논란이 제기된 특검법을 무리하게 추진해 중도층과 2030 세대의 반감을 불러온 결과로 풀이된다.
이 때문에 당 안팎에서는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 탄핵안을 인용해 조기 대선이 열린다면 민주당이 강경 일변도에서 벗어나 중도층을 포섭하기 위한 전략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친명(친이재명)계 중진 의원은 “특검법은 여당이 주장하는 내용을 전부 수용해 처리한 뒤 당 전략을 ‘민생·경제’ 이슈를 중심으로 재설계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오는 20일 6대 시중 은행장을 불러 ‘상생 금융’ 방안을 논의하기로 하는 등 이 대표가 윤 대통령 체포 이후 민생을 최우선 키워드로 내세운 것 역시 이 같은 지지율 추이를 의식한 행보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도 특검법 등 정치 현안에 대한 언급 없이 외교·경제 이슈만 거론했다. 그는 “설을 앞두고 성수품 가격이 대폭 올랐다”며 “소비심리 위축과 내수 부진의 악순환을 끊어야 한다”고 밝혔다.
민주당과 이 대표 지지율이 동시에 흔들리면서 차기 대선을 노리는 야권 잠룡들의 움직임도 빨라질 것으로 관측된다. 한 총리 탄핵을 앞두고 ‘신중론’을 제기했던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지난해 연말 문재인 전 대통령을 예방한 데 이어 김동연 경기지사, 김경수 전 경남지사와도 따로 회동해 정국 현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김 전 총리 측 관계자는 “대통령 탄핵소추 이후 민주당이 민심을 제대로 읽지 못했다는 것이 김 전 총리의 생각”이라고 전했다.
비상계엄 이후 귀국한 김 전 지사는 윤 대통령 체포 직후 페이스북에 “민생경제 연대를 만들어 국정을 안정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윤석·김대영 기자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