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열린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 희생자 합동 추모식’에서 진도 씻김굿 보존회의 추모공연 지전춤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18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열린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 희생자 합동 추모식’에서 진도 씻김굿 보존회의 추모공연 지전춤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은 19일 더불어민주당이 제안한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 추모공원 조성에 대해 “취지는 공감하지만 지금은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이 먼저여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조용술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날 오후 논평을 통해 이같이 밝히며 “어제 무안공항에서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들을 위한 합동 추모제가 열렸다”고 운을 뗐다. 조 대변인은 “박한신 유가족 대표는 ‘희생자들의 한을 풀어주기 위해서는 철저한 사고 원인 규명이 필수’라고 강조했고,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도 철저한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라면서도 “무안공항은 1999년 12월 첫 삽을 뜰 때부터 안정성 논란이 적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이번 사고기 폭발 원인의 하나로 지목된 콘크리트 둔덕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규정을 정면으로 위반했다는 지적을 꾸준히 받아왔다”라며 “잘못된 설계, 방치된 문제, 해결하지 않는 무책임이 이 비극을 낳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와중에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영록 전남지사는 460억 원 규모의 추모공원 설치를 발표했다”며 “추모공원이 필요하다는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지금은 유족들의 일상 회복을 지원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이 먼저여야 한다”고 밝혔다.

조 대변인은 “사과와 추모만으로 끝난다면, 비슷한 비극은 반복될 것”이라며 “국민의힘은 이 참사를 교훈 삼아 항공안전 시스템을 점검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 야당 역시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 노력에 초당적으로 협조해 주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노기섭 기자
노기섭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