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음상담소
▶▶ 독자 고민
뭘 해도 재미가 없고 무기력하고 과거에 내가 잘못 살아온 것만 같은 생각이 들어요. 검색을 해보니 전형적인 우울증 증상인 것 같아요. 우울증에 걸렸는데 심리 상담을 하는 게 좋을지 정신건강의학과에 가는 게 좋을지 판단이 안 섭니다. 친구들 두 명이 다르게 얘기해줘서 어느 쪽에 먼저 가서 도움을 받아야 할지 잘 모르겠어요.
A : 전문의 방문이 먼저… 진단결과 따라 상담치료 받아야
▶▶ 솔루션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입장에서 말씀드린다면 그래도 정신건강의학과가 진단을 내리고 향후 치료계획을 세우는 데 있어 훨씬 더 종합적인 시각을 가지고 조언을 드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우울증에 있어서는 생물학적인 부분과 심리적인 부분이 둘 다 존재한다고 합니다. 약물치료를 한다면 사실은 감정 자체보다는 감정에 의해 변화된 신체 증상을 치료하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결국에는 마음의 문제가 오래가게 되면 에너지가 없다거나 잠을 못 자거나 집중력이 떨어지는 등 신체 증상으로 번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것만 걷어내 줘도 의지를 가지거나 감정적인 부분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신건강의학과의 단점은 아무래도 병원이기 때문에 진료 시간이 짧을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사실 어려운 점은 어떤 사람은 굉장히 짧은 진료 시간에 약물치료를 원하는 경우가 있고 또 다른 분들은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어린 시절부터 평생에 걸친 얘기를 다 상담받고 싶어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예약제 정신과인지 아니면 약물이 부작용이 있을 때 금세 찾아갈 수 있는 비예약제 정신과인지 장단점을 따져서 결정하기 바랍니다.
상담 치료의 장점은 오랜 시간 동안 충분히 시간을 갖고 내 얘기를 할 수 있다는 점인데 사실 심리상담사는 오랜 시간 함께할 사람이라서 나와 궁합이 맞는 것도 상당히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누가 좋다더라’ ‘어떤 경력을 가졌다더라’ 등 부분도 중요하지만 내가 한번 가서 상담을 받아보고 어떨지 결정해야 합니다. 상담도 하기 전에 한꺼번에 여러 회기 결제를 유도한다면 절대로 그런 곳은 찾아가지 않는 게 좋습니다. 국가가 시행하는 전국 마음투자 지원 사업도 대부분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소견서를 받아서 주민센터에서 바우처를 지급 받은 이후 심리 상담을 하도록 돼 있습니다.

하주원 대한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 홍보이사·전문의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