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국 ‘트럼프 대응책’ 부심

캐나다 “미국 관세에 강력 대응”
EU “우리 이익·가치 지킬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과 동시에 관세 부과 예고와 각종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등 보호무역주의를 본격화하자 각국이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트럼프발 보복 관세가 임박한 중국은 미국산 제품 수입 확대라는 유화책을 꺼내 든 반면 캐나다와 멕시코는 맞대응 전략을 시사했다.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딩쉐샹(丁薛祥) 중국 국무원 부총리는 이날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연차총회 연설에서 “우리는 무역 흑자를 추구하지 않는다”며 “균형 잡힌 무역을 촉진하기 위해 더 경쟁력 있고 품질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수입하고 싶다”고 말했다. 딩 부총리는 “중국 개방의 문호는 닫히지 않고 더 넓게 열릴 것이며 우리 비즈니스 환경은 더 나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이날 퀘벡주 몬테벨로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25% 관세 예고에 관한 질문에 “캐나다는 그에 대응할 것이며 모든 옵션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응은) 강력하고 신속하며 균형 잡힌 것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도 이날 “단계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또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불법 이민자 차단을 위해 멕시코 국경에 병력 배치를 강화하겠다는 행정명령을 발동한 것에 대해 “멕시코 국민은 우리(정부)가 항상 멕시코의 주권과 독립을 지킬 것이라고 확신해도 된다”고 강조했다.

이날 응고지 오콘조이웨알라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은 “전 세계 누구에게도, 심지어 미국에도 관세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우리는 관세 전쟁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우리의 이익을 보호하고 가치를 지키는 원칙을 고수할 것”이라고 말했고,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도 “다른 파트너들과 함께 번영의 기반인 자유무역을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라르스 뢰케 라스무센 덴마크 외교장관은 그린란드 문제와 관련해 “자신들이 원한다고 해서 제멋대로 갖는 그런 국제 규칙은 있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현욱 기자 dlgus3002@munhwa.com

관련기사

이현욱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