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3일 헌법재판소가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에 대한 탄핵소추 기각 결정을 내린 것을 놓고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국민의힘은 기각 결정은 당연하다면서 “야권이 방통위 업무 공백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고, 더불어민주당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탄핵 기각은) 당연한 귀결”이라며 “무리한 탄핵소추를 한 민주당은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비판했다. 또 “헌재가 (감사원장·법무부 장관 등 ) 다른 탄핵소추안에 대해서도 빠른 시간 내에 결정을 내려 국정이 정상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탄핵 기각은 ‘이재명 세력’의 탄핵 남발·입법 독재의 민낯을 드러낸 것”이라며 “헌재 결정도 170여 일이 걸리며 민주당의 방통위 업무마비를 허용해줬다”고 지적했다. 이어 “민주당이 방통위원장 탄핵에 집착한 이유는 방송·언론장악”이라며 “히틀러가 집권하자마자 괴벨스가 한 일이 언론사 통폐합이었는데 (민주당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민주당은 “유감스러운 결정”이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노종면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헌재 결정을 존중한다면서도 “이 위원장 본인도 4대4로 갈린 재판관 결정의 의미를 명심해야 할 것”이라며 “민주당은 2인 체제 운영을 앞세운 (방통위의) 방송 장악을 정당화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윤석열 정부의 역대 방통위원장 자리는 여야 정쟁으로 탄핵·사퇴가 반복돼 왔고, 이에 따라 방통위는 사실상 ‘업무 정지’ 상태였다.

염유섭·이은지·김대영 기자

관련기사

이은지
김대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