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성·대안없이 '남 탓'만
‘계엄이후 보도 점검’ 토론회서
“중국 내정간섭 왜 침묵하나” 비난
“언론이 탄핵 선동” 주장까지 나와
서부지법 난동사태는 법원 탓하고
헌재엔 탄핵심판 공정성 시비 등
사법부 흔들기 이어 언론에 책임 전가
당내서도 “기성언론 성토장돼
극우지지자들 주장 같아” 비판
국민의힘이 비상계엄 이후 나온 언론 보도를 점검하는 토론회를 23일 열었지만, 최근 논란이 된 부정선거 의혹 관련 가짜뉴스는 전혀 다루지 않아 편향된 언론관만 고스란히 드러냈다는 비판이 나온다. 탄핵소추 가결은 언론 탓, 서울서부지법 난입은 법원 탓 등 책임을 외부로 돌리는 양태가 이어지고 있다.
국민의힘 미디어특별위원회는 이날 오전 ‘탄핵정국 공정보도 양태와 문제점’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에서 ‘탄핵소추 이후 언론의 왜곡 편파-MBC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발제자로 나선 오정환 전 MBC 보도본부장은 “중국의 ‘내정 간섭’에 (언론의) 침묵”이라며 탄핵 찬성 시위에 중국인들이 가담하고 있다는 주장을 보도하지 않는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주한중국대사관이 지난 5일 한국에 체류 중인 자국민에게 ‘정치 활동에 참여하지 말라’는 공지를 올린 사실을 거론하며 “대한민국 주권침해에 외국 정부가 수습에 나설 때까지 대한민국 언론이 침묵했다는 것은 대단히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이날 발제자와 토론자들은 언론이 탄핵을 선동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허위 사실을 유포하면서 여론을 호도한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비상계엄 이후 대표적 가짜뉴스로 꼽히는 비상계엄 당시 계엄군이 미군과 공동작전으로 선거연수원을 급습해 중국 국적자 99명의 신병을 확보했다는 한 인터넷 매체의 보도는 거론되지 않았다. 해당 보도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옹호론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당내에서도 이날 토론회를 두고 “극우 지지자들이 갖고 있는 기성 언론에 대한 성토장 수준”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여당이 극우 지지자와 거리 두기를 못하면서 사법부와 수사기관 흔들기, 반(反)이재명 등 ‘남 탓 메시지’만 내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전날(22일) 서울서부지법 난동 사태와 관련, “폭력적이고 불법적인 부분은 단호히 거부하고 응분의 사법적 처분이 있어야 된다”면서도 “소위 강경한 우파하고 거리 두기가 필요한 게 아니냐는 얘기가 많이 나오는데 어떤 세력하고 특별히 거리를 두거나 말거나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본다”고 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전날 헌법재판소를 찾아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이 이재명 대표와의 친분에 대해 답변해야 하고, 제대로 답변하지 못한다면 (윤 대통령 탄핵심판) 제척 내지 기피 사유가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근거로 문 권한대행이 이 대표 모친상에 갔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헌재는 모친상에 문상을 가지도 않았고, 조의금을 낸 사실도 없다고 반박했다.
윤정선·염유섭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