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출석해 “평시에도 배치”
‘총기사용 검토’ 의혹 전면부인
“비화폰 삭제, 지시 이유 없다”
함께 출석 이광우 묵묵부답
경찰, 구속영장 재신청 방침
경찰의 윤석열 대통령 체포 저지를 주도한 혐의를 받는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24일 경찰에 출석하며 ‘총기 사용 검토’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김 차장은 윤 대통령 2차 영장 집행 당시 경호처의 총기 배치에 대해서도 “평시에도 배치됐고, 민주노총 관저 침입 제보가 있어 이광우 경호본부장이 재배치를 지시한 것”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조만간 김 차장과 이 본부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재신청한다는 방침이다.
김 차장은 이날 오전 경찰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에 출석하며 ‘윤 대통령 2차 체포영장 집행을 앞두고 관저에 MP7 기관단총 2정과 실탄 80발을 옮겨둔 게 누구 지시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저는) 그런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김 차장은 “관저 배치가 아니라 평시에 배치된 총”이라며 “(민주노총 관저 침입 제보를 받아) 동일한 건물 내에서 위치만 조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배치 이동 지시는 자신이 아닌 “경호본부장이 지시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이는 경찰이 확보한 진술을 전면 부인한 것이다. 경찰은 윤 대통령 2차 영장 집행 전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이 경호관들에게 총기 사용 등을 지시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했다. 윤 대통령이 경호처 부장단 오찬에서 총기 사용 검토를 지시했고, 이에 김 차장이 “네 알겠습니다”라고 답변했다는 진술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차장은 비화폰 통신기록 삭제를 시도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비화폰은 이틀마다 자동 삭제되기 때문에 지시할 이유가 없다”고 부인했다. 김 차장은 이날 경찰 조사 이후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해 윤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관련 조사를 받았다.
이 본부장도 이날 오전 특수단에 출석했으나 취재진의 질문에 모두 답하지 않고 조사실로 향했다. 이 본부장은 지난 23일 총기 재배치 지시 사실을 인정하며 “영장 집행을 막기 위한 목적이 아닌 시위대에 대비하기 위함이었다”고 해명한 바 있다.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은 경호처 내 ‘강경파’로 분류되는 인물로, 지난 3일 윤 대통령 1차 체포영장 집행 당시 이를 저지한 혐의로 각각 17일과 18일 경찰에 체포됐다. 경찰은 18일 김 차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신청했으나 검찰이 이를 반려하면서 신병 확보에 실패했다. 경찰은 보강 수사를 거쳐 이들에 대한 구속영장을 재신청할 방침이다.
조율·조언 기자
‘총기사용 검토’ 의혹 전면부인
“비화폰 삭제, 지시 이유 없다”
함께 출석 이광우 묵묵부답
경찰, 구속영장 재신청 방침
경찰의 윤석열 대통령 체포 저지를 주도한 혐의를 받는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24일 경찰에 출석하며 ‘총기 사용 검토’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김 차장은 윤 대통령 2차 영장 집행 당시 경호처의 총기 배치에 대해서도 “평시에도 배치됐고, 민주노총 관저 침입 제보가 있어 이광우 경호본부장이 재배치를 지시한 것”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조만간 김 차장과 이 본부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재신청한다는 방침이다.
김 차장은 이날 오전 경찰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에 출석하며 ‘윤 대통령 2차 체포영장 집행을 앞두고 관저에 MP7 기관단총 2정과 실탄 80발을 옮겨둔 게 누구 지시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저는) 그런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김 차장은 “관저 배치가 아니라 평시에 배치된 총”이라며 “(민주노총 관저 침입 제보를 받아) 동일한 건물 내에서 위치만 조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배치 이동 지시는 자신이 아닌 “경호본부장이 지시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이는 경찰이 확보한 진술을 전면 부인한 것이다. 경찰은 윤 대통령 2차 영장 집행 전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이 경호관들에게 총기 사용 등을 지시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했다. 윤 대통령이 경호처 부장단 오찬에서 총기 사용 검토를 지시했고, 이에 김 차장이 “네 알겠습니다”라고 답변했다는 진술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차장은 비화폰 통신기록 삭제를 시도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비화폰은 이틀마다 자동 삭제되기 때문에 지시할 이유가 없다”고 부인했다. 김 차장은 이날 경찰 조사 이후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해 윤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관련 조사를 받았다.
이 본부장도 이날 오전 특수단에 출석했으나 취재진의 질문에 모두 답하지 않고 조사실로 향했다. 이 본부장은 지난 23일 총기 재배치 지시 사실을 인정하며 “영장 집행을 막기 위한 목적이 아닌 시위대에 대비하기 위함이었다”고 해명한 바 있다.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은 경호처 내 ‘강경파’로 분류되는 인물로, 지난 3일 윤 대통령 1차 체포영장 집행 당시 이를 저지한 혐의로 각각 17일과 18일 경찰에 체포됐다. 경찰은 18일 김 차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신청했으나 검찰이 이를 반려하면서 신병 확보에 실패했다. 경찰은 보강 수사를 거쳐 이들에 대한 구속영장을 재신청할 방침이다.
조율·조언 기자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