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미사일총국은 1월 25일 해상(수중)대지상전략순항유도무기시험발사를 진행했으며 김정은(오른쪽) 국무위원장이 참관해 이번 시험은 전쟁억제력 완비의 일환이라고 밝혔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6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 미사일총국은 1월 25일 해상(수중)대지상전략순항유도무기시험발사를 진행했으며 김정은(오른쪽) 국무위원장이 참관해 이번 시험은 전쟁억제력 완비의 일환이라고 밝혔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6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트럼프 취임 후 첫 무기 시험…김정은 “전쟁억제수단 완비”

북한이 25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해상대지상 전략순항유도무기 시험 발사를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6일 보도했다.

이번 시험 발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0일(현지시간) 취임한 이후 첫 무기체계 시험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직접 대화할 의지가 있다고 공개적으로 밝혔음에도, 북한 당장은 대화 제안에 응하지 않고 국방력을 과시하며 대치 국면을 이어갈 가능성이 제기된다.

조선중앙통신은 “발사된 전략 순항 미사일들은 7507∼7511초간 1500㎞의 비행구간을 타원 및 8자형 궤도를 따라 비행해 표적을 명중 타격했다”면서 “주변 국가들의 안전에 그 어떤 부정적 영향도 끼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공화국 무력의 전쟁 억제 수단들은 더욱 철저히 완비되어 가고 있다”면서 “우리는 앞으로 보다 강력히 진화된 군사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이며 영구적인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기 위한 자기의 중대한 사명과 본분에 항상 책임적으로 분투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번 시험 발사가 “변화되는 지역의 안전 환경에 부합되게 잠재적인 적수들에 대한 전략적 억제의 효과성을 제고해나가기 위한 국가방위력건설계획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무기 시험 발사에는 김정식 노동당 중앙군사위원과 장창하 미사일총국장도 참석했다.

한편, 북한 외무성은 이날 대외보도실장 명의의 담화를 통해 지난 21∼24일 진행된 한미 공군 쌍매훈련을 맹비난했다. 외무성은 “미국이 주권과 안전이익을 거부하는 이상 미국과는 철두철미 초강경으로 대응해야 하며 이것만이 미국을 상대하는데서 최상의 선택”이라고 밝혔다. 이어 “미한의 군사적 결탁에 의해 강요되는 힘의 불균형을 불허하고 초강력 대응해 나감으로써 국가의 주권적 권리와 안전 이익을 수호하고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철저히 담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쌍매 훈련 외에 지난 14∼16일 한미가 실시한 연합 대화력전 연습도 거론하며 “조선반도 지역의 긴장 격화를 가증시키는 미한의 군사적 도발 책동을 엄정 주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행위에는 반사적인 대응이 따르게 된다는 것을 엄중히 경고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조선반도(한반도)와 지역의 안전 환경이 날로 위태해지고 있는 근원은 다름 아닌 군사 동맹체제의 부단한 팽창과 각종 합동군사연습의 강행을 통한 힘의 우위를 추구하고 있는 미국에 있다”고 비난했다.

북한은 과거에도 한미 연합훈련이 한반도 정세 불안의 원인이라며 신경질적으로 반응해 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 북한을 향해 유화적 메시지를 내보내는 상황에서 미국을 직접 비판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다만, 북한 외무성은 이날 담화에서 트럼프 정권을 직접 거명하진 않았다.

오남석 기자

관련기사

오남석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