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파트 비중 최고는 서울, 최저는 제주
블랙핑크의 멤버 ‘로제’가 미국 팝스타 브루노 마스와 발매한 솔로 앨범 ‘아파트(APT)’가 미국 빌보드 메인 싱글차트 ‘핫100’에 오르면서 덩달아 미국의 아파트먼트(Apartment)와는 다른 ‘K-아파트(한국식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K-아파트는 좁은 국토 면적에 맞게 진화를 거듭한 끝에, 50년간 약 140배 늘어날 정도로 한국인의 가장 사랑받는 대표 주거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한국주택금융공사가 발간한 인구·주택·도시 변화를 고려한 주택시장 구조변화 장기전망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1975년부터 2023년까지 아파트는 8만9000가구에서 1263만 가구로 약 141.9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국내 총 주택이 473만 가구에서 1954만 가구로 4.13배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급증한 것이다.
1975년만 해도 단독주택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당시에는 총 주택의 92.6%(438만 가구)가 단독주택이고 아파트는 겨우 1.9%(8만9000가구)에 불과했다. 그러나 인구가 급증하면서 1960~70년대부터 주택 부족에 시달렸고, 이후 주택을 효율적으로 대량 공급할 방법을 찾던 끝에 지금의 아파트가 탄생했다. 한국의 아파트는 체계적인 주택공급 정책하에 탄생했다. 총 주택물량은 199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집중적으로 증가하는데, 각각 10년 주기로 약 380만 가구, 약 280만 가구, 약 460만 가구 등 증가했다. 이 중에서 아파트는 약 360만 가구, 295만 가구, 약 350만 가구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그 결과 1975년까지 아파트 비중은 1.9%로 낮았지만 1990년대와 2000년대에 걸쳐 각각 23%, 48%까지 늘더니 2020년에는 약 63%에 다다랐다. 반면 1975년 단독주택 비중은 92.56%에서 2020년 21.04%로 감소하더니 2023년에는 19.76%까지 떨어졌다.
특히, 서울에서 아파트가 크게 확산됐다. 2023년 기준 아파트는 총 주택(315만5000가구)의 59%를 차지한다. 연립·다세대까지 포함하면 인구밀도가 높은 만큼 공동주택 비중이 91%로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아파트 비중이 가장 낮은 지역은 제주(31.6%)다. 전국에서 아파트 비중이 압도적으로 낮은 것은 물론 연립·다세대(27.4%), 단독주택(38.6%) 등 주택 유형이 균형적인 것이 특징이다.
아파트가 보급되는 과정에서 우리 만의 주거공간으로 자리 잡은 것도 눈여겨볼 만하다. 한국의 아파트는 미국에서 말하는 ‘아파트먼트(Apartment)’와는 다르다. 미국의 아파트먼트는 1~2개월치 월세를 보증금으로 선납하고 렌트비를 내는 일종의 임대주택 개념으로, 주로 사회 초년생들이 거주하는 공간으로 여겨진다. 물론 우리도 아파트에서 전·월세 등 임대도 가능하지만, 개인이 매매를 한 뒤 임대를 놓는다는 점에서 한국의 아파트는 소유를 위한 공간의 개념이 더 강하다. 그런 면에서 미국의 콘도미니엄(condominium)과 조금 더 비슷한 개념이다. 다만 한국의 아파트는 한국인의 거주에 용이하게 끊임없이 진화를 거듭하며 콘도미니엄과 다른 생김새로 자리매김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이승주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