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주 全부처와 머리 맞대 민생대책 점검…‘AI 시대’ 대비 간담회도
국민의힘이 이번 달 민생·정책 행보를 본격화한다. 집권 여당으로서 대통령·국무총리·장관들의 연쇄 직무 정지에 따른 국정 공백 장기화를 방치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이 전제 조건인 ‘조기 대선’에는 일정 거리를 유지하되, 조기 대선이 현실화할 가능성에 대비해 승패의 열쇠를 쥔 중도층의 ‘정책 표심’을 공략하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오는 4일 경제 부처와 7일에는 비경제 부처와 민생대책을 점검하는 당정협의회를 연다. 각 부처 차관과 기획조정실장이 참석한다. 아울러 당 지도부는 인공지능(AI)특위·경제활력민생특위와 함께 오는 5일 경기 평택고덕변전소를 방문, AI 시대에 필수적인 전력망 확충을 위한 간담회를 연다. 최근 잇따른 항공기 사고와 관련해 안전 점검에 나서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는 ‘탄핵 정국’으로 행정부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비상시국을 맞아 여당이 전면에 나서 국정 전반과 민생 현안을 챙기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국민의힘은 민생·정책 행보에 나서는 것과 함께 당 개혁 방향, 나아가 정권 재창출 방안도 모색할 계획이다. 당 전략기획특위는 이달 중순 당 개혁을 주제로 릴레이 세미나를 시작한다. 세미나에서는 ‘보수 재건’부터 2030세대 지지 확보 방안, 중도층 공략법 등이 다뤄질 예정이다.
특위는 매주 현안 관련 여론 분석 보고서도 지도부에 전달하고 있다. 설 연휴 기간 발표된 차기 대권 주자 선호도와 정당 지지율 관련 여론조사 분석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에서는 국민의힘의 움직임이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당은 조기 대선을 드러내놓고 거론하는 데 조심스러운 모습이다. 당 차원에서 조기 대선을 공식화할 경우 윤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강성 보수층의 반발에 맞닥뜨리고, 여권의 분열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우클릭’ 행보와 달리, 국민의힘 입장에선 적극적인 ‘좌클릭’이 부담스럽다는 기류도 감지된다. 윤 대통령 탄핵 심판과 체포·구속에 반대 입장을 보이는 것도 이 같은 배경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때문에 윤 대통령 탄핵 심판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반(反)이재명’ 기치를 앞세우면서 민생 행보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보수층과 중도층 사이의 ‘줄타기’를 이어갈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
장병철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