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달 31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달 31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실용주의 강조하며 경제 이슈 목소리 키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실용주의 노선과 경제 성장론을 강조하며 연일 ‘우클릭’ 행보를 이어가는 가운데 반도체 특별법에 대한 입장 정리가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2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대표는 오는 3일 자신이 직접 좌장을 맡아 반도체 특별법과 관련한 정책 토론회를 주재하고, 노동계와 산업계의 의견을 수렴한다. 민주당은 법안 내용 중 특정 반도체 산업 종사자의 주 52시간 상한제 적용 예외 조항에 대해서는 근로 시간 제도의 근간을 흔들 수 있다며 반대 입장을 고수해왔다. 특히 전통적인 지지층인 노동계가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는 만큼 민주당으로서는 협상의 여지가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으나, 이 대표가 전향적 결정을 할 가능성에 이목이 쏠린다. 이 대표는 앞서 실용주의 기조를 천명한 지난달 23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반도체 특별법과 관련해 "필요한 조치를 과감하고 전향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게다가 최근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발 충격파와 관련해 AI 개발에 대한 전폭적인 국가적 지원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 대표는 앞서 어려운 주식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당론을 번복하고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결정을 내렸고, 가상자산 과세 문제 역시 유예론에 동의했던 만큼 세 번째 ‘우회전’에 나설지 주목된다. 당내에선 이 대표가 최근 실용주의를 더욱 전면에 내세우는 만큼 실제 전향적 결정을 할 수도 있다는 관측과, 당 노동 정책의 핵심인 주52시간제는 손댈 수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교차한다. 친기업 행보로 얻을 수 있는 ‘산토끼’ 유입과 기존 노동 담론에 충실한 결정을 통한 ‘집토끼’ 지키기 간의 이해득실을 따져가며 정책 시험대에 오르는 셈이다.

최근 이 대표는 민생 경제 회복을 제1의 과제로 정하고 경제 성장 담론에 집중, 실용적인 지도자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조기 대선 가능성 앞에 여론이 보수와 진보로 팽팽히 양분된 만큼 중도층과 보수층을 끌어안고 당의 외연을 확장하려는 ‘대선 플랜’의 일환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 대표는 신년 기자회견에서 기존 진보 진영의 화두인 분배보다는 성장을 우선시하겠다는 뜻을 피력하기도 했다. 지난 대선 공약이자 그간 대표 브랜드로 내세워 온 ‘기본사회’ 정책에 대해 ‘전략적 후퇴’ 모양새를 취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오랫동안 주장해 온 민생회복지원금도 포기할 수 있다며 여당에 추경 편성을 요구하고, 여야 협상이 교착 중인 국민연금 개혁 논의와 관련해선 이달 중 모수 개혁 입법을 완료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장병철 기자
장병철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