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센터 보고서
미국발 관세 전쟁으로 한국과 중국 간의 수출 경쟁이 심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중국의 저가 생산품이 미국 대신 다른 신흥국 시장으로 향하면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우리나라와 중국의 경쟁이 첨예해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국제금융센터는 3일 보고서에서 “미국의 관세 부과로 중국이 더 과잉 생산에 나서고 중국 기업 수출이 다른 국가들로 선회할 경우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중국 기업과) 우리나라와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기업들은 최근 조사에서 미국이 60%에 달하는 관세를 실제 부과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그럴 경우 제3국 수출을 확대할 의향을 나타냈다.
국제금융센터는 이어 “트럼프발 관세로 미국과 선진국 간 무역 갈등이 커질 수 있으며 중국·선진국뿐 아니라 중국·신흥국 간 무역 마찰도 확대될 소지가 있다”고 예상했다. 다만 관세 전쟁에 따른 반사이익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국제금융센터는 “미국의 관세 부과와 중국의 맞대응 과정에서 우리 제품의 수출 경쟁력이 미국뿐 아니라 중국 시장에서도 제고될 수 있다”며 “G2(미국과 중국)의 한국 투자가 확대되는 등 일부 반사이익도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보호무역주의 확산은 글로벌 성장률을 둔화시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3%로 전망하면서도 보호무역주의 확대가 세계 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세계은행(WB)은 미국이 전 세계를 상대로 10% 보편관세를 부과한다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이 기존 예측치(2.7%) 대비 0.2%포인트 내려갈 수 있다고 관측했다.
김지현 기자 focus@munhwa.com
미국발 관세 전쟁으로 한국과 중국 간의 수출 경쟁이 심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중국의 저가 생산품이 미국 대신 다른 신흥국 시장으로 향하면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우리나라와 중국의 경쟁이 첨예해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국제금융센터는 3일 보고서에서 “미국의 관세 부과로 중국이 더 과잉 생산에 나서고 중국 기업 수출이 다른 국가들로 선회할 경우 글로벌 수출시장에서 (중국 기업과) 우리나라와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기업들은 최근 조사에서 미국이 60%에 달하는 관세를 실제 부과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그럴 경우 제3국 수출을 확대할 의향을 나타냈다.
국제금융센터는 이어 “트럼프발 관세로 미국과 선진국 간 무역 갈등이 커질 수 있으며 중국·선진국뿐 아니라 중국·신흥국 간 무역 마찰도 확대될 소지가 있다”고 예상했다. 다만 관세 전쟁에 따른 반사이익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국제금융센터는 “미국의 관세 부과와 중국의 맞대응 과정에서 우리 제품의 수출 경쟁력이 미국뿐 아니라 중국 시장에서도 제고될 수 있다”며 “G2(미국과 중국)의 한국 투자가 확대되는 등 일부 반사이익도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보호무역주의 확산은 글로벌 성장률을 둔화시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3%로 전망하면서도 보호무역주의 확대가 세계 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세계은행(WB)은 미국이 전 세계를 상대로 10% 보편관세를 부과한다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이 기존 예측치(2.7%) 대비 0.2%포인트 내려갈 수 있다고 관측했다.
김지현 기자 focus@munhwa.com
관련기사
-
트럼프 “EU 제품에도 곧 관세 부과”
-
K-반도체 당장 큰 타격없지만… “美 추가 투자 압박 신호” 해석
-
관세폭탄 대상국 포함도 안됐는데… 코스피 장중 2450선 붕괴
-
트럼프 왜 우호국부터 때렸나… 멕시코·캐나다는 ‘對美 대규모 흑자국’
-
트럼프발 관세폭탄 대비… 한국, 미국산 수입 확대 검토
-
트럼프 노골적 보호무역에… 출범 30년 WTO ‘유명무실’
-
전 세계와 ‘관세전쟁’… 트럼프 “모든 국가가 美 갈취”
-
미국 수출통제 강화에도… 중국 반도체 제조장비 수입 되레 늘어
-
韓증시·환율 ‘트럼프 관세전쟁’ 직격탄
-
최 대행 "美관세 가용수단 총동원해 대응…‘비상수출대책’ 마련"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