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종전을 밀어붙이고 있는 우크라이나 전쟁 문제와 함께 북핵 문제를 풀려고 할 것이라는 예측이 제기됐다. 한·미·일 삼각 협력에 대해서는 트럼프 행정부에서도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며 오히려 정치적 불확실성에 처한 한국이 변수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정덕구(사진) 니어재단 이사장과 윤병세 전 외교부 장관, 김성한 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6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특파원단 간담회에서 “북핵 문제는 아직 (트럼프 대통령의) 레이더망에 없지만 곧 잡히게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전 실장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북핵 문제를 떼서 별개 사안으로 보기는 힘들다는 게 (싱크탱크들의) 대체적 의견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통해 러시아를 끌어당겨 중국에서 러시아를 떼어놓는 것을 전략적으로 고려할 것이고, 그 부대 효과로 러시아와 북한의 관계도 기존 관계에서 골치 아프게 만드는 노력이 앞으로 있을 것”이라며 “북한 문제에 관해서는 리처드 그리넬 특임대사가 베네수엘라 문제를 해결한 뒤 북핵 문제에 대해 이니셔티브를 쥐고 다룰 것이라는 예상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지난 2019년 하노이 회담 결렬을 통해 북한이 핵무기 포기 의사가 없다는 걸 트럼프가 간파한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어느 정도 선에서 북핵 문제를 풀려고 할 것인지 권위 있는 최종적인 결론을 내리긴 힘든 상태”라고 강조했다.

워싱턴=민병기 특파원
민병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