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정보 유출 공포감 확산에
17개 광역시·도 전체 접속차단
기초지자체도 보안관리 조치중
대전, 행안부 공문앞서 선제차단
산하기관에도 “유의할 것” 안내
대구=박천학 기자 kobbla@munhwa.com, 전국종합
중국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딥시크’의 이용자 정보 유출 우려에 정부 부처와 기관·기업에 이어 광역지방자치단체도 일제히 접속 차단에 나섰다. 특히 주민들의 정보를 다루는 기초지방자치단체 읍·면·동 단위에서도 딥시크를 이용하다 중국으로 정보가 통째로 넘어갈 수 있다는 공포감이 확산하면서 접속을 차단하는 등 지방 행정기관에 전방위 경계령이 내려졌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지난 4일 광역지자체에 ‘개인정보 입력을 자제하는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하라’는 취지의 공문을 보냈다.
7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딥시크에 중국 당국이 개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코드가 심겨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날 오전 기준 전국 17개 광역 시·도 모두 업무용 컴퓨터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기초지자체와 산하기관의 차단 행렬도 이어지고 있다.
우선, 서울시는 딥시크의 데이터 수집 방식과 보안 체계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접속 차단을 결정했다. 시는 내부 회의를 거쳐 딥시크의 안전성이 확보될 때까지 한시적으로 직원들의 업무용 컴퓨터에서의 접속을 차단했다고 밝혔다.
서울시가 통합 보안관제를 하게 돼 있어 25개 자치구의 딥시크 접속도 함께 차단됐으며, 시는 자치구에 공문을 보내 이를 안내했다.
부산시는 본청과 16개 자치구, 각 사업소 모두 업무용 컴퓨터로 딥시크에 접속할 수 없도록 시스템을 변경했고, 세종시는 본청과 읍·면·동 모두 접속을 차단했다.
광주시도 본청과 5개 자치구, 산하기관 모두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전남도도 본청과 산하기관, 도내 22개 시군에 대해 차단 조치했다. 전남도 관계자는 “민감한 정보가 포함된 업무자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보안관리를 강화하겠다”며 “안전이 검증될 때까지 접속을 차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시는 본청과 각 사업소의 딥시크 접속 차단과 함께 9개 자치구에도 차단 안내 메일을 발송했다. 울산시 역시 본청의 딥시크 접속을 막고 5개 자치구에도 차단을 요청했다.
특히 대전시는 행안부가 공문을 보내기 전인 지난 3일 딥시크 접속을 선제적으로 차단했다. 대전시 5개 자치구와 대전시의회도 사용 차단 조치했으며, 대전시는 산하 출자·출연기관과 공공기관에도 “유의해 달라”고 안내했다.
유준혁 대구대 컴퓨터정보공학부 교수는 “딥시크는 사용자의 사소한 정보까지 수집하며 그 내용을 얼마나 취합하는지 모르는 상황”이라며 “국가기관이나 관공서는 안보적인 측면에서라도 접속을 금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