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 월성원자력발전소 전경. 문화일보 자료사진
경북 경주 월성원자력발전소 전경. 문화일보 자료사진


지난해 국내 전체 전력 거래량 가운데 원자력발전으로 생산한 전기의 비중이 15년 만에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전력 거래량은 54만9387GWh였으며 원전 비중은 32.5%였다. 나머지 발전원은 LNG(29.8%), 석탄(29.4%), 신재생(6.9%) 등이었다.

지난해 원전 발전 비중은 2009년의 34.8% 이후 1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또 원전은 지난 2006년 이후 18년만에 최대 발전원 자리를 차지하기도 했다. 2007∼2023년 사이 국내 최대 발전원은 석탄이었다.

원전 발전 비중은 2000년대 중반까지 40%대였지만 LNG와 신재생 발전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지면서 30%대로 내려왔다. 원전 의존도를 낮추고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는 정책을 취했던 문재인 정부 시절이었던 지난 2018년 원전 비중은 23.7%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현재 국내 원전은 지난해 4월 신한울 2호기가 새로 상업 운전에 들어간 것을 포함해 총 26기가 운영 중이다. 또 건설 막바지인 새울 3·4호기와 지난해 건설이 시작된 신한울 3·4호기까지 향후 투입되면 총 30기가 될 전망이다.

박준희 기자
박준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