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 관광업계 "한시적으로라도 광주공항 열어야 여행업계 버틴다"
전남도 "불필요한 논쟁 안 돼…무안공항 조기 정상화 위해 노력하자"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 이후 고사 위기에 놓인 광주광역시 관광업계가 광주공항 임시 국제선 운영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시는 "신중히 검토해볼 만한 사안"이라고 밝혔지만, 전남도가 "광주공항 국제선 운영은 비현실적"이라고 맞서면서 무안국제공항 활성화와 맞물려 갈등을 빚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9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광주관광협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6일 호소문을 내고 "광주 여행업계가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며 "한시적으로라도 광주공항을 열어줘야만 우리가 버텨낼 수 있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광주시민이 무안공항 최대 이용자인 만큼 광주공항 임시 국제선 유치를 통해 지역 항공 이용객 수요를 유지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대위는 "무안공항을 포기하자는 것이 아니다"라며 "코로나19로 고통받은 3년을 지나 또다시 찾아온 이 위기를 이겨내야만 무안공항을 활성화하고 지역 경제를 살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올해가 ‘광주 방문의 해’이고, 오는 9월 세계양궁선수권대회가 열려 임시 국제선 운영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광주 민간·군 통합공항을 무안공항으로 이전하려다가 무안군의 반대에 가로막힌 광주시는, 국토교통부에 광주공항 임시 국제선 운영을 건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무안공항 정상화 시점이 올 10월 이후로 예상되면서, 일부 전세기라도 광주에서 띄워야 한다는 여행업계 의견을 토대로 정기 또는 부정기편 취항까지 소요 기간, 관세청·출입국사무소·검역 본부 등 유관 업무 이전 가능성까지 파악하고 있다.
통상 정기 노선 심의는 3개월마다, 부정기 노선 심의는 매월 이뤄지며 업무 이전까지 고려하면 부정기 노선만 취항하더라도 4∼5개월은 소요될 전망이다. 광주공항에는 2007년까지 일본과 동남아 등으로 향하는 국제선이 있었으나, 같은 해 11월 무안공항 개항 후에는 국내선만 운영해왔다. 광주공항 활주로는 길이 2835m, 폭 45m(2본)로, 중형 기종을 활용해 하와이까지 운항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전남도는 즉각 광주공항 임시 국제선 운영은 지역 발전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현실적으로도 어렵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전남도는 지난 6일 건설교통국장 명의로 입장문을 내고 "(국제선 임시 취항 명분으로 내세운) 2025 세계양궁선수권대회는 국제경기대회 지원법상 국제선 유치조건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실제로 지난해 9월 광주시의 국제선 취항 신청은 국토부의 승인을 얻지 못했다"고 밝혔다.
"무안공항 안전이 우려돼 광주공항에 국제선을 띄워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국토부의 공항 특별안전 점검 결과 광주공항도 개선 대상에 포함됐다"고 반박했다. 전남도는 국제선 운항에 필요한 세관, 출입국 관리, 검역시스템 구축에는 최장 2년이 소요돼 무안공항 재개항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전남도는 "무안공항 항행안전시설 조기 확충을 통해 8월 재개항을 목표로 추진 중"이라며 "지금은 무안공항이 서남권 대표 관문공항으로 재도약하도록 광주시와 전남도가 조기 정상화를 위해 함께 노력할 시기인 만큼 불필요한 논쟁이 생기지 않도록 광주시의 대승적인 상생협력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노기섭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