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주 총리 나서 트럼프와 통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의 관세 부과를 공식 발표하자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등 각국 정상들이 관세 면제와 예외를 받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실제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일이 3월 4일로 발효까지 한 달가량 시간이 있는 만큼 정상외교를 통해 관세 폭탄을 피하려는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으로 정상외교가 중단된 한국은 이러한 외교전에서 소외되고 있다.
이날 AFP통신에 따르면 앨버니지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한 사실을 언급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양국의 이익을 위해 호주의 철강·알루미늄 면제를 고려 중이라는 것을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데 동의했다”고 밝혔다. 블룸버그 통신도 트럼프 대통령이 앨버니지 총리와의 통화에서 호주가 미국산 항공기(F-35 라이트닝 Ⅱ·E-7A 조기경보통제기 등)를 수입한 것에 대해 만족감을 표시하며 호주에 대한 관세 면제를 고려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행정부 시절인 2018년 국가안보를 이유로 철강에 25%, 알루미늄에 10%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으나 맬컴 턴불 당시 호주 총리와 통화한 후 관세대상에서 제외한 바 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도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12∼13일)에서 철강·알루미늄 제품 관세 면제를 요청한다는 방침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인도철강협회가 인도 정부에 관세 면제를 피하기 위한 외교적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고 전했다.
이미 각국 정상들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외교를 통해 관세 연기 등의 성과를 거뒀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를 통해 국경 안보 등에 협조하는 대신 25% 관세 부과 한 달 유예를 약속받았고,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도 마약 문제를 담당하는 펜타닐 차르 임명 등을 통해 관세 부과 연기를 얻었다.
이종혜 기자 ljh3@munhwa.com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