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즈롱이 에어버스와 개발 중인 이중 높이 좌석. 셰즈롱 캡처
셰즈롱이 에어버스와 개발 중인 이중 높이 좌석. 셰즈롱 캡처


항공기업계의 ‘양대 산맥’ 중 하나인 에어버스가 처음으로 ‘이중 높이’ 좌석을 객실에 도입할 것을 연구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11일 CNN 등에 따르면 에어버스는 스타트업 기업 ‘셰즈롱’과 협업해 이중 높이 좌석의 도입을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021년 대학생 시절 아이디어로 혁신적인 항공기 실내 디자인을 선정하는 대회인 크리스털 캐빈 어워드에서 심사위원들의 주목을 받았던 알레한드로 누녜스 비센테는 스스로 스타트업 기업을 차려 이를 운용 중이다. 앞좌석과 뒷 좌석의 높이가 서로 다른 좌석이 배치된 이 형태는 좌석을 뒤로 젖히거나 다리를 뻗을 때 앞뒤 좌석에 걸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중 좌석으로 줄어든 항공기 기내 선반은 의자 아래로 이동한다. 이같은 좌석은 일부 승객들에겐 폐쇄공포증(claustrophobia)을 유발할 수 있지만, 다리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승객들이 느낄 답답함(cabin fever)은 오히려 크게 개선될 수 있다고 전했다. 누녜스 비센테 CEO는 "2층 좌석의 진정한 잠재력을 알아봐 준 에어버스에 감사하다"고 밝혔다. 다만 실제 이중 구조 좌석이 어떻게 객실 내에 적용될 지에 대해선 에어버스와 셰즈롱 모두 말을 아꼈다.



이중 높이 좌석의 아래층. 기존 좌석보다 발을 더 멀리 뻗을 수 있다. 셰즈롱 캡처
이중 높이 좌석의 아래층. 기존 좌석보다 발을 더 멀리 뻗을 수 있다. 셰즈롱 캡처


누녜스 비센테의 아이디어가 항상 긍정적인 반응만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다. 승객들 입장에선 항공사들이 상업적 마인드로 좌석 추가에만 골몰하게 될 것이라거나 아래 좌석의 승객이 윗 승객의 방귀 냄새를 맡게 될 것이란 주장도 나오고 있다. 논란에 대해 누녜스 비센테는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되는 것은 승객들의 편의"라며 "좌석의 추가적 확보는 부가적인 이점"이라고 해명했다. 다만 해당 좌석이 실제 상용화가 될 때까진 아직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CNN은 전했다.

박준우 기자
박준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