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정 경기대 교수. 연합뉴스
이수정 경기대 교수. 연합뉴스


"반사회적 성격 장애…가장 방어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 상대 복수극"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가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 가해 교사의 범행과 관련 "우울증은 이런 종류의 폭력 행위와 전혀 인과관계가 없다"면서 "결국은 아주 치밀한 계획 살인이다 이렇게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13일 YTN ‘이슈앤피플’에서 "1년에 2만 명 이상의 많은 교사들이 업무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증 치료를 받는다. (살해 교사가) 우울증 치료를 받던 사람이라는 경찰 발표는 ‘우울증이 있는 교사는 전부 교직 부적응자가 아니냐’는 낙인이 찍히는 문제가 있어 적절해 보이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이 교수는 "경찰 발표 내용 중 가장 눈여겨본 건 ‘복직 후에 짜증이 났다’고 얘기한 것"이라며 "결국 짜증이 나서 이런 일이 벌어졌다는 얘기로 들리는데, 이분은 사실 우울증보다는 성격적으로 문제가 심각하게 있었던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이분이 복직한 이후 여러 폭력 행위가 보고됐다. (범행) 5일 전 컴퓨터가 잘 안된다고 컴퓨터를 파손했고, 어려움을 상담해 주겠다는 동료 교사들도 폭행했다"며 "지속적인 문제가 있었는데 이를 중단시킬 수 없었던 시스템에도 일부 책임이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반사회적 성격장애를 원인으로 거론했다. 이 교수는 "피해망상을 동반한 조현병이라든지 아니면 지금처럼 이렇게 극도의 반사회적인 성격 장애라든지 이런 문제를 갖고 있는 사람이 결국은 본인의 분풀이 또는 방어 목적으로 가장 방어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을 상대로 일종의 복수극을 벌이는 것"이라며 "이 가해자의 특성. 예컨대 여성이고 어른이고 근무하던 사람이다 보니까 그 공간 내에서 가장 방어 능력이 떨어지는 아이를 선택을 했을 개연성이 굉장히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또 심신미약에 의한 우발적인 사건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이 교수는 "정신 질환에 기인해서 피해망상, 정신착란 상태에서 일어난 살인 사건 같은 경우에 우발성이 있다. 그런데 이 사건은 전혀 그렇지 않다. 심신미약에 해당하는 질병이 전혀 아니다"라며 "장학사들이 와가지고 뭔가 불리한 면담이 이루어져서 보복할 목적으로 점심시간에 잠깐 무단으로 외출을 해가지고 도구를 산다. 구매를 해서 결국 오후에 목표한 바를 달성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교수는 점심시간 무단 외출한 뒤 흉기를 구입한 점, 범행 장소를 방음이 되고 방범 카메라가 없는 시청각실로 정한 점, 아이가 혼자 될 시간까지 기다린 점 등이 계획 살인의 근거가 된다고 봤다. 이 교수는 "은폐 시도했을 개연성도 충분히 있다고 보인다"고 전했다.

가해 교사는 지난 10일 오후 5시 50분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돌봄교실 후 귀가하던 김하늘(8)양을 유인해 흉기로 살해한 혐의를 받는다. 교사는 경찰에 자신이 흉기를 휘둘렀다고 자백했으며, 이후 경찰 조사에서 "복직 후 짜증이 났고, 교감이 수업을 못 들어가게 했다"고 진술했다.

임정환 기자
임정환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