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연합뉴스
정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연합뉴스


정일영 의원실 자료


보수 성향의 유튜브 10곳이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두 달간 ‘슈퍼챗’(유튜브 생방송 중 시청자가 유튜버에게 제공하는 후원금)을 통해 벌어들인 수입이 6억 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정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6일 보도자료를 통해 "유튜브 채널 분석 서비스 ‘플레이보드’ 등을 분석한 결과, 극우·보수 성향의 유튜브 10곳의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슈퍼챗 총수입을 분석한 결과 6억576만 원이었다"고 밝혔다.

정 의원이 분석한 채널 10곳 중 6곳의 슈퍼챗 수입은 비상계엄 이후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이 이뤄진 1월까지 상승했다. 정 의원에 따르면 구독자 약 162만명으로 가장 많은 A채널은 슈퍼챗 수입이 지난해 11월 5908만 원에서 12월 1억2283만 원, 올해 1월 1억5850만 원으로 증가했다. 정 의원은 "채널 10곳 중 2곳은 이른바 ‘2030 극우·보수 청년 결집’을 목표로 하는 채널로, 이들의 슈퍼챗 수입은 한 달 사이에 2∼3배 이상 증가했다"고 부연했다. 구독자가 약 77만 명인 B채널은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구독자가 50만 명 이상 급증했다. 슈퍼챗 수입도 지난해 12월 3787만 원에서 올해 1월 8920만 원으로 한 달 만에 2배 이상 늘었다.

정 의원은 "극단적 선동과 혐오를 조장해 콘텐츠 수익을 올리지 못하게 하는 제도적 개선 방향을 모색해 낭비적인 사회 분열을 막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신병남 기자
신병남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