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려운 재정여건 속 국가투자예산, 지방교부세 확보 주요 요인
안동=박천학 기자
경북도의 예산이 민선 7·8기 재정 혁신과 국비 확보 성과로 6년(2020~2025년)간 37.6%(3조6263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 같은 증가율은 같은 기간 정부예산 증가율 31.4%보다 6.2% 포인트 높고, 광역지방자치단체 평균 예산 증가율 32.3%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회계별 세출예산은 일반회계는 8조4450억 원에서 11조7267억 원으로 3조2817억 원(38.9%), 특별회계는 1조1905억 원에서 1조5351억 원으로 3446억 원(28.9%)으로 각각 증가했다.
분야별 세출예산은 교육 분야 예산이 지역혁신 중심대학 지원체계(RISE)사업 추진과 글로컬대학사업 전국 최다 선정에 힘입어 3869억 원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358%)을 기록했다. 산업·에너지 분야 국가 첨단전략산업특화단지 선정 및 국가산단 추가 지정에 따른 연계 사업추진으로 1962억 원으로 82.6% 증가했다. 또 저출생 극복을 위한 각종 신규 시책 추진으로 보건 분야가 71.1%(1059억 원) 증가했고, 환경 분야가 68.7%(4282억 원) 등으로 늘었다.
특히 최근 역대급 국세 펑크로 행정안전부 지방교부세 총규모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2024년 특별교부세 확보액이 58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71억 원(88%)이 증가했다.
특히 국고보조사업과 정부의 도내 직접 투자사업을 합산한 연도별 국가 투자예산 확보액도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2022년 국가 투자예산 10조175억 원을 확보해 최초로 10조 원을 돌파했고 국회의 감액 예산 의결이 있었던 올해도 11조8677억 원을 확보해 12조 원 시대 개막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코로나19 이후 정부의 긴축재정에도 불구하고 국가 예산 확보와 투자유치가 도민의 삶과 민생에 직결되는 최고의 복지라는 생각으로 재정 확대에 최선을 다해왔다"며 "확보한 예산이 적시 적소에 쓰여 어려운 도민의 일상이 빠르게 회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