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제공
LH 제공

분양 2만4000가구·임대 6만4000가구
시장안정 위해 전년 대비 4배 이상 확대



LH는 올해 분양 주택 2만4000가구, 임대주택 6만4000가구 등 모두 8만8000가구를 공급한다고 6일 밝혔다.

3기 신도시를 포함해 모두 41개 단지에 연내 공급될 예정인 분양주택은 지난해(5275가구)보다 4배 이상 많다.

분양주택은 유형별로 신혼희망타운 7000가구, 공공분양 7100가구, 뉴홈 9500가구 등이다.

이 가운데 신혼희망타운은 신혼부부, 한부모 가족 등을 위해 공급되는 주택이다. 단지 내 어린이집과 공동육아나눔터 등 다양한 육아·보육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올해 뉴홈으로는 △일반공급 비율을 확대한 뉴홈 일반형 8200가구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하는 뉴홈 나눔형 336가구 △6년 거주 후 분양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뉴홈 선택형 1018가구 등 3가지 유형이 공급된다.

지역별로는 주택 수요가 높은 수도권에 약 77% 수준인 1만8000가구가 공급된다.

특히 3기 신도시는 △고양창릉(A4, S5, S6 블록) △하남교산(A2 블록) △부천대장(A5, A6, A7, A8 블록) △남양주왕숙(A1, A2, B1, B2, A24, B17 블록) 등 총 14개 단지에 8000가구가 공급된다.

무주택 서민을 위한 임대주택으로는 매입 임대 주택 2만1504가구, 전세임대주택 3만5725가구, 건설임대주택 6611가구가 각각 올해 공급된다.

매입 임대주택 형식으로는 대학생 등 청년층에 4200가구, 신혼부부 및 다자녀 가구 5600가구, 저소득층 7000호 등이 각각 공급된다.

이와 함께 올해 전세 임대주택으로 무주택 중산층을 위한 신규 유형이 신설된다.

소득·보유자산 규모와 무관하게 비아파트 주택에 최대 8년간 거주할 수 있는 이 유형으로는 모두 2800가구가 공급된다.

올해 공급되는 건설임대주택 유형으로는 영구임대 1100가구, 국민임대 1200가구, 행복주택 3200가구, 통합공공임대 1100가구 등이 있다.

구체적인 주택공급 계획은 LH청약플러스(https://apply.lh.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한준 LH 사장은 "민간의 주택공급 위축과 고물가 장기화로 인한 주거비 상승, 주거불안 우려를 해소할 수 있도록 충분하고 신속한 주택공급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과 내 집 마련을 위해 차질 없이 주택공급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소현 기자
이소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