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로자 화장실 부족에 불편 호소
준공 앞둔 단지 청결문제 이어져
지난 5일 오전 7시쯤 서울 은평구 A 건설 신축 공사장. 450여 가구가 들어설 대형 현장이지만, 건설 근로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화장실은 아파트 단지 정문 기준으로 왼편에 단 1곳뿐이었다.(사진) 그것도 컨테이너 3개를 이어붙인 것으로, 청소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근로자들은 극심한 불편을 호소하고 있었다. 현장 근로자 B 씨는 “수세식 화장실이 설치된 다른 현장과 달리 여기는 재래식 화장실이어서 특히 더 열악하다”고 토로했다. 고용노동부 가이드라인을 보면 건설 현장의 화장실은 하루 한 번 이상 청소해야 하지만, 현장에서는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듯했다.
일부 건설 현장에서 화장실 부족 및 청결 문제가 지속하는 가운데, 열악한 작업 환경으로 인한 최종 피해는 결국 수분양자에게 돌아간다는 지적이 나온다. 준공을 앞둔 현장에서 입주민들이 사전점검일에 소변 흔적 등을 발견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6일 입주를 시작하는 광진구 자양동의 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에서는 지난해 12월 사전점검 당시 계단 등에서 인부들이 남긴 것으로 추정되는 말라붙은 소변 자국을 비롯해 무더기 하자가 발견돼 충격을 주기도 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토지주택연구원은 최근 공개한 보고서에서 화장실의 철거 시점에도 상당수의 근로자가 현장에 투입되기 때문에 철거 시점을 최대한 준공 시점에 맞춰 조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LH는 건축 준공 전 90일까지 컨테이너형 화장실을 철거하도록 하고 있다. 현장에서는 실외 공사가 끝나면 도로를 포장하거나 조경을 해야 한다며 현장 안 간이 화장실을 철거하는 경우가 빈번한 것으로 알려졌다.
화장실과 같은 기본적인 요소조차 개선되지 않으면 건설 현장 기피 현상으로 이어져 인력난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건설업계를 중심으로 표준품셈(공사비 산정 지표)에 관련 기준을 구체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데 대한 공감대가 커지는 이유다.
글·사진=이소현 기자 winning@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