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규회의 뒤집어보는 상식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만6624달러로 집계됐다. 2023년(3만6194달러) 대비 1.2% 증가한 수치다.
대한민국의 국민소득 변천은 세계적인 경제 강국으로 발돋움한 발전사를 반영한다. 6·25전쟁 직후인 1953년 1인당 GNI는 67달러(약 2000원)에 불과한 최빈국이었다.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2∼1966)을 실시하기 직전인 1961년에도 1인당 GNI는 82달러로 세계 125개국 중 101번째였다. 1977년 1000달러를 넘기까지는 24년의 세월이 걸렸다. 그해에 한국은 드디어 수출 100억 달러 시대를 맞았다. 이후 1인당 GNI는 1994년 1만 달러를 넘어 2005년 2만 달러를 돌파한 후, 2014년 9년 만에 3만 달러에 진입하며 선진국 반열에 올라섰다. 1996년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29번째 회원국으로 가입하며 선진국으로 향하는 대로(大路)에 올라탔다.
GNI는 우리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의미한다. 개인뿐 아니라 기업·정부가 번 돈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 나라 국민의 평균적 생활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다. 1인당 GNI는 GNI를 인구수로 나눈 값이다. 달러화로 환산되기 때문에 1인당 GNI는 원·달러 환율 변동에 따라 등락이 엇갈린다.
국민소득이 높다는 건 분명 좋은 신호일 수 있다. 그런데 ‘국민소득이 높으면 모두가 잘산다’고 생각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국민소득은 ‘평균’을 보여주는 수치일 뿐이라는 사실이다. 국민소득은 시장에서 거래되는 것들만 계산에 넣기 때문에, 돈으로 환산하기 어려운 가치들이 빠져 있다. 국민소득이 높아도 소득 격차가 크면 많은 사람은 그 혜택을 체감하기 어렵다. 국민소득이 증가해도 소득 불균형이 심화되면 삶의 만족도가 오히려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삶의 질을 제대로 알려면 ‘국민소득’ 외에 소득 분배, 교육 수준, 의료 서비스, 환경, 사회적 안전망, 행복 지수 등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도서관닷컴 대표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