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사태 이후 새 감염병 유행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우리나라 감염병관리기관은 최근 약 1년 사이 4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의료자원과 마찬가지로 감염병 분야 역시 수도권에 자원이 몰려 있고, 경북권이 가장 취약한 지역으로 꼽혔다.

9일 질병관리청과 국립중앙의료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 기준 전국 감염병관리기관은 총 159곳이다. 2023년 3분기(277곳)보다 42.6%나 줄었다. 감염병관리기관은 감염병예방법에 따라 보건복지부 장관, 질병관리청장, 시·도지사 등이 지정한다. 이들은 기존 지정 기관만으로 감염 환자를 모두 수용하기 어려울 경우 다른 의료기관을 감염병관리기관으로 지정하거나 격리소 등을 설치할 수 있다.

감염병관리기관은 코로나19 유행이 점차 사그라짐에 따라 2022년 1분기 411곳에서 같은 해 3분기 283곳으로 줄었다. 2023년에는 1분기 282곳, 3분기 277곳으로 계속해서 감소했다.

지역별로 봤을 때 경북권의 감염병 관련 의료자원이 가장 부족했다. 감염병관리기관 내 감염내과 전문의 수는 총 139명으로, 권역별로 봤을 때 수도권에 절반 이상인 79명(56.8%)이 몰렸고, 경북권에는 단 4명(2.9%)만 있었다. 그나마 4명이 모두 대구에 있고 경북도에는 1명도 없었다.

호흡기내과 전문의(총 218명)도 수도권(102명)이 최다, 경북권(8명)이 최소였고, 소아청소년과 감염분과 전문의(총 28명) 수도권(15명)이 1위, 경북권(1명)이 꼴찌였다.

감염병관리기관 내 중환자 치료를 위한 시설도 경북권에 유독 부족했다. 전국 인공호흡기는 총 4천156대로, 경북권에는 가장 적은 176대(4.2%)만 있었다. 에크모(인공심폐장치·ECMO)도 총 236대 중 경북권에는 9대(3.8%)만 있었다.

질병청과 국립중앙의료원 연구진은 "감염병 유행 상황을 대비해 감염병관리기관의 의료 대응 역량 파악이 중요하다"며 "감염병 위기 시 기관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면 지역 간 자원 분포의 차이에 따른 의료 공백을 해소하고, 급증하는 의료 수요에 대비해 지역 내 감염병 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도경 기자
권도경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