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서울 종로구 재동 헌법재판소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을 반대하는 지지자와 탄핵을 찬성하는 세력들 간에 물리적 충돌이 벌어지고 있다.  백동현 기자
10일 서울 종로구 재동 헌법재판소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을 반대하는 지지자와 탄핵을 찬성하는 세력들 간에 물리적 충돌이 벌어지고 있다. 백동현 기자


■ 더 격렬해진 양측 시위

시위대 70명 몰려 ‘투기장’ 방불
“폭행당했다” 신고에 경찰 출동
상대진영 향한 ‘첩보활동’까지

警, 선고일 갑호비상 유력검토
“헌재 100m내 진공상태 만들것”


지난 7일 법원의 구속 취소 결정으로 윤석열 대통령이 석방되면서 윤 대통령 탄핵 찬·반 세력의 시위가 더 격렬해지고 있다. 특히 탄핵 심판 선고가 임박한 헌법재판소 앞은 각각 탄핵 찬·반을 주장하는 시위대의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양측이 선고 날까지 헌재 인근에서 매일 ‘총력 시위’를 벌일 것으로 예고한 가운데, 경찰은 선고 당일 가장 높은 단계의 비상근무 체제인 ‘갑호비상’(가용 경찰력 100%까지 동원하는 최고 단계의 비상근무 체제)을 유력 검토하고 있다.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재 앞은 ‘투기장’을 방불케 했다. 찬탄(탄핵 찬성)·반탄(탄핵 반대) 시위대 70여 명이 몰려 충돌하면서다. 양측은 각각 “내란수괴 윤석열 즉각 파면” “탄핵 무효, 민주당 퇴출” 등을 외치며 상대 진영에 욕설을 퍼붓기도 했다. 결국 몸싸움이 벌어졌고, “상대 진영 시위대에 폭행당했다”는 112 신고까지 접수돼 경찰이 출동하기도 했다. 이날 경찰은 헌재 정문 앞 인도 100m가량에 이중 바리케이드를 설치하고 헌재 앞 횡단보도를 통제했다.

양 진영의 갈등은 선고 날에 다다를수록 깊어질 전망이다. 탄핵 촉구 집회를 주도하고 있는 비상행동은 전날부터 이번 주까지를 ‘긴급 비상행동 주간’으로 설정하고 단식 농성, 전국 동시다발 1인 시위, 릴레이 시국선언 등을 이어가겠다고 밝힌 상태다. 이날 오후 7시부터 종로구 경복궁역 인근에서는 3000명 규모의 ‘범국민대회’를 열고 헌재 인근 안국역 6번 출구까지 가두시위를 벌인다.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등 야당은 매일 의원총회를 열고 국회 내에서 농성을 진행할 방침이다. 반탄 측인 대통령 국민변호인단은 지난 4일부터 헌재 앞에서 무제한 ‘필리버스터’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가 이끄는 대한민국바로세우기국민운동본부는 이날부터 14일까지 오후 1시 헌재 인근에서 탄핵 무효 집회를 연다.

서로에 대한 적대감이 고조되며 각 진영에서는 상대 진영을 향한 ‘첩보 활동’도 벌이고 있다. 상대 진영의 시위에 참여해 참여 인원 규모 등을 파악하고 온라인 커뮤니티에 ‘정찰 보고 글’로 공유하는 식이다. 일종의 ‘간첩 색출 활동’도 이뤄지고 있는데, 집회 옷차림과 구호를 사전에 정하고 이를 따르지 않는 사람들을 잡아내는 것이다. 전날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 탄핵 반대 집회에서는 반탄 층이 사전에 공모한 ‘필수 지참 물품’이 없는 한 참여자에게 ‘간첩’이라 부르자, 다른 시위자가 “시위에 같이 온 친구”라고 해명하는 일도 벌어졌다.

서울경찰청은 이날 선고 당일 찬·반 시위대가 헌재 주변으로 총결집할 것으로 보고, ‘갑호비상’을 유력 검토하는 한편 종로구와 중구 일대를 ‘범죄예방강화구역’으로 선포하겠다고 밝혔다. 서울 시내에만 기동대 192개 부대, 1만2000여 명을 동원할 방침이었으나, 윤 대통령이 직접 선고기일에 출석할 경우 등을 고려해 증원도 검토하고 있다.

헌재 ‘철통 방어’ 계획도 논의 중이다. 서울청 관계자는 “헌재 100m 이내는 집회금지구역으로, 진공상태로 만들 것”이라며 차벽을 2~3중으로 세우는 등 주변을 전면 봉쇄할 계획도 밝혔다. 폭탄 테러 등 극단적 시나리오도 고려해 폭발물 탐지 등에 경찰특공대를 투입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미국, 중국 등 주요국 대사관과 서울중앙지법, 서울서부지법 등 주요 법원과 정당 당사 등에도 경력을 배치할 계획이다.

김린아·이재희·노지운·노수빈 기자

관련기사

김린아
이재희
노지운
노수빈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