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없는 반대’에 우려감 표해
“여론악화 모집인원 다시 늘것”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증원 0명’을 수용했지만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복귀할 움직임이 미미하자 의대 교수들은 “대안 없는 반대는 (의정갈등 해결의) 마지막 기회마저 사라지게 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교육부는 ‘이달 내 의대생 전원 복귀’를 전제로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되돌리는 안을 내놓았는데 강경파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협박’이라고 반발하면서 이들 복귀 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10일 수도권 한 대학병원 A 교수는 문화일보와의 통화에서 “전공의들과 의대생들은 대안 한 번 제대로 내놓지 않고 반대만 하고 있다”며 “백기 투항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정부가 물러섰다면 상호주의에 입각해 이들도 한발 물러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의사면허도 따지 않은 대학생들이 정부 정책을 좌우하려는 건 옳지 않다”며 “의료계도 결국 대한민국 체제 내에서 존재하는 것인데 마치 대한민국 위에 군림하려는 듯하다”고 비판했다.
앞서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7일 페이스북에 교육부 방안을 이끌어 낸 의대 학장단을 향해 “학장이라는 자는 오히려 정부 권력에 편승해 제자들을 시궁창에 빠뜨리려 한다”며 “학생들을 상대로 끝까지 사기와 협박뿐”이라고 비난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도 이날 입장문에서 “학생을 협박할 것이라면 교육과 학생을 위한다는 말을 다시는 하지 말라”고 반발했다.
서울 소재 대학병원 B 교수는 “의대생들이 강경파 주도대로 이달 말까지 복귀하지 않는다면 결국 여론만 악화되고, 내년도 모집인원은 5058명이 될 수밖에 없어 자업자득하는 결과를 불러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른 대학병원 C 교수도 “의대생과 전공의만 절대적으로 옳다는 논리에 갇혀 있는 듯하다”며 “자신의 자리로 돌아와 할 일을 하면서 정책 대안을 내놓아야 국민 지지도 받을 수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권도경 기자 kwon@munhwa.com
“여론악화 모집인원 다시 늘것”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증원 0명’을 수용했지만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복귀할 움직임이 미미하자 의대 교수들은 “대안 없는 반대는 (의정갈등 해결의) 마지막 기회마저 사라지게 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교육부는 ‘이달 내 의대생 전원 복귀’를 전제로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되돌리는 안을 내놓았는데 강경파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협박’이라고 반발하면서 이들 복귀 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10일 수도권 한 대학병원 A 교수는 문화일보와의 통화에서 “전공의들과 의대생들은 대안 한 번 제대로 내놓지 않고 반대만 하고 있다”며 “백기 투항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정부가 물러섰다면 상호주의에 입각해 이들도 한발 물러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의사면허도 따지 않은 대학생들이 정부 정책을 좌우하려는 건 옳지 않다”며 “의료계도 결국 대한민국 체제 내에서 존재하는 것인데 마치 대한민국 위에 군림하려는 듯하다”고 비판했다.
앞서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7일 페이스북에 교육부 방안을 이끌어 낸 의대 학장단을 향해 “학장이라는 자는 오히려 정부 권력에 편승해 제자들을 시궁창에 빠뜨리려 한다”며 “학생들을 상대로 끝까지 사기와 협박뿐”이라고 비난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도 이날 입장문에서 “학생을 협박할 것이라면 교육과 학생을 위한다는 말을 다시는 하지 말라”고 반발했다.
서울 소재 대학병원 B 교수는 “의대생들이 강경파 주도대로 이달 말까지 복귀하지 않는다면 결국 여론만 악화되고, 내년도 모집인원은 5058명이 될 수밖에 없어 자업자득하는 결과를 불러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른 대학병원 C 교수도 “의대생과 전공의만 절대적으로 옳다는 논리에 갇혀 있는 듯하다”며 “자신의 자리로 돌아와 할 일을 하면서 정책 대안을 내놓아야 국민 지지도 받을 수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권도경 기자 kwon@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