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북한 서해 석도 북부 해상을 촬영한 ‘플래닛 랩스(Planet Labs)’의 위성사진에 선체를 맞댄 165m와 60m 길이 선박 2척이 접선 중인 장면이 포착됐다. 미국의 소리(VOA) 홈페이지 캡처
지난 10일 북한 서해 석도 북부 해상을 촬영한 ‘플래닛 랩스(Planet Labs)’의 위성사진에 선체를 맞댄 165m와 60m 길이 선박 2척이 접선 중인 장면이 포착됐다. 미국의 소리(VOA) 홈페이지 캡처


북한 서해 해상에서 불법 선박 간 환적으로 추정되는 장면이 포착됐다.

11일 미국의 소리(VOA)에 따르면 10일 서해 석도 북부 해상을 촬영한 ‘플래닛 랩스(Planet Labs)’의 위성사진에는 선체를 맞댄 165m와 60m 길이 선박이 포착됐다.

이들 두 척이 접선한 곳은 북한 최대 항구인 평안남도 남포항에서 약 30km 떨어져 있다. 사실상 망망대해인 이곳에서 두 선박이 선체를 바짝 붙인 것이다.

지금은 활동을 중단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은 이 해상을 불법 환적지로 지목한 바 있다.

특히 지난 2023년 발행한 안보리 보고서는 "해외에서 출항한 선박이 (북한 영해에서)북한 선박과 만나 환적한 뒤 종류를 알 수 없는 화물을 북한 남포로 옮기는 방식으로 제재를 피해 왔다"고 밝히기도 했다.

VOA는 이들 선박이 유엔 금수품을 주고받을 가능성에 주목했다.

최근 이 일대에서는 길이 50m 이하 선박만이 선체를 밀착할 뿐 이번처럼 대형 선박이 환적 의심 장면을 연출한 경우는 드물었다고 VOA는 보도했다. 이에 따라 북한 해역에서 불법 환적 행위가 다시 고개를 쳐들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유엔 안보리는 지난 2017년 채택한 결의 2375호 11조를 통해 북한이나 북한을 대리하는 선박이 어떤 물품도 건네받지 못하도록 못박았다. 이들 선박이 환적을 통해 어떤 물품을 주고받든 유엔 안보리 제재 위반에 해당된다.

정충신 선임기자, 이시영 기자
정충신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