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아파트 거래량 4959건
1월 3360건보다 50% 늘어나
평균 매매가격 13억3090만원

강남 3구와 마·용·성 등 지역
하루 단위로 거래·가격 점검중
“투기 적발땐 무관용 원칙 대응”


지난달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강남 일대의 집값 상승세가 가팔라지자 서울시는 “시장 교란행위를 집중 단속하고 충분한 공급 시그널을 보내는 등 시장 안정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해제 지역에서 시작된 집값 상승세가 인근 지역을 넘어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과 서울 전 지역으로 확산할 조짐을 보이자 서울시가 진화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벌써 5000건에 육박했고, 매매된 아파트의 평균 가격은 13억 원을 돌파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이날 기준 4959건으로 집계됐다. 전달인 1월(3360건) 대비 거래량이 50% 급증한 것으로, 2월 계약분에 대한 신고 기한이 이달 말까지로 보름가량 남은 점을 감안하면 증가세는 폭발적인 수준이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해 8월 이후 줄곧 3000건대에 머물렀다. 하지만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매수세가 살아나고 최근 기준금리가 내린 영향까지 더해지면서 거래량은 가파르게 늘고 있다. 특히 강남권의 거래량 증가가 두드러진다. 강남구의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1월 198건에서 2월 392건으로 194건(97.9%) 급증했다.

고가 지역에 매수세가 몰리면서 14일 기준 지난달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 가격은 13억3090만 원으로 나타났다. 해당 수치가 13억 원을 넘어선 것은 집계 이래 최초다. 자치구별로는 서초구가 29억8263만 원으로 30억 원에 다다랐다. 마포구(14억2977만 원)·강동구(12억440만 원)도 신고가를 경신했다.

시장 상황이 심상치 않게 흘러가자 서울시는 이날 지난주부터 강남·서초·송파구와 마포·용산·성동구 등 주요 지역에 시·자치구 합동 현장점검반을 투입해 불법행위를 단속 중이라고 밝혔다. 하루 단위로 거래 및 가격 동향을 점검 중이며, 투기·시장교란 행위가 적발되면 수사 의뢰·국세청 통보 등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한다는 방침도 분명히 했다.

다른 한편으로는 ‘차질 없는 주택 공급’을 강조했다. 시에 따르면 서울 시내 아파트 입주물량은 올해 4만6780가구 등 2년간 총 7만1242가구로, 지난 2년간보다 4.0% 늘어난다. 시 관계자는 “올해 입주예정 물량 중 30.9%가 동남권 4개 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에 집중돼 있다”며 “충분한 공급 신호가 전달되면 이 지역 집값 안정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동남권 주요 입주예정 단지는 서초구 메이플자이(6월·3307가구)와 송파구 잠실래미안아이파크(진주아파트 재건축·12월·2678가구), 잠실르엘(미성크로바 재건축·12월·1865가구), 강남구 청담르엘(청담삼익 재건축·11월·1261가구) 등이다.

이소현·김성훈 기자
이소현
김성훈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