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세계 부채 보고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91.7% 2위
세계 1위는 캐나다 100.6%


경제 규모(국내총생산·GDP)를 감안한 우리나라 가계 빚(부채)이 세계 2위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16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Global Debt)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으로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1.7%에 달해 세계 38개국(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 중 2위를 기록했다. 한국보다 부채 비율이 더 높은 국가는 캐나다(100.6%)가 유일했다.

한국은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2020년 이래 2023년까지 100%를 웃돌면서 4년간 ‘세계 최대 가계부채 국가’의 불명예를 얻었다. 그러다가 지난해에는 국민계정 통계 기준연도 개편으로 2023년 말 비율이 갑자기 93.6%로 크게 하향조정되면서 순위가 2위로 내려왔다. 다시 말해, 통계 기준연도를 바꿔 2위로 내려 온 것이지 실제로는 여전히 세계 최상위를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다만, 지난해의 경우 2∼3분기 가계대출 급증세가 4분기에 진정되면서 비율이 91%대까지 낮아졌다. 가계부채비율은 지난해 1.9%포인트 떨어졌는데, 이는 38개국 중 네 번째로 큰 하락 폭이다. 그러나 전체 신흥시장 평균(46.0%)이나 아시아 신흥시장 평균(57.4%)은 물론 세계 평균(60.3%)을 여전히 크게 웃돈다.

국제결제은행(BIS)이 지난 11일 발표한 최신 통계에서도 우리나라 가계부채 비율은 최상위권에 들어가 있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0.7%로, 세계 44개국(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 중 5위를 기록했다. 이 또한 신흥시장 평균(49.1%)이나 주요 20개국(G20) 평균(61.2%), 조사 국가 평균(61.9%)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다. 1위는 스위스(125.7%)였고, 호주(111.5%)·캐나다(100.1%)·네덜란드(94.2%)가 한국보다 상위에 포진했다. 한국 가계부채 비율은 2021년 3분기 말 99.2%로 정점에 이른 뒤 떨어지는 추세지만, 국제 순위는 2023년 3분기 말 6위에서 같은 해 4분기 말(93.6%) 5위로 오히려 상승했다.

다행히 이달 들어서는 가계부채가 빠르게 늘지 않고 있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3월 13일 현재 가계대출 잔액은 737조868억 원으로, 2월 말보다 3349억 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그러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서울 집값이 다시 오르고 거래도 늘어나면서 2개월 안팎의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이 급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여전하다.

임대환 기자
임대환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