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회의가 초반 삐걱거렸던 것을 일단 봉합하고 14일(현지시간)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미국 대표로 참석한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달리 유화적인 태도로 나온 것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이번에 공개적인 분열은 피했지만 미국 트럼프 행정부와 동맹국들 간에 불거진 갈등 요인은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날 미국 유력지 워싱턴포스트(WP)는 캐나다 퀘벡주 라말베에서 열린 이번 외교장관 회의에서 G7 국가들이 러시아를 향한 휴전 압박과 가자지구 전쟁 종식, 중국의 군사력 증강 억제 등 공통의 목표에 관한 공동성명 채택에 합의했다고 평가했다. 이번 회의는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이 격화하며 유럽과 캐나다 등 미국 동맹국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열렸다. 특히 주요 의제였던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와 밀착하는 행보를 보인 만큼 이번 회의에서 공동성명 도출이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존재했다.
그러나 당국자들이 동맹국 간 회의에서는 이례적으로 철야 회의를 이어간 끝에 이날 오전 미국·일본·캐나다·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 등 7개국 외교장관들이 공동성명문 채택에 합의했다. 로이터 통신은 이번 합의가 장관들 "스스로에게도 놀라운" 일이었다면서 루비오 미 국무장관이 분열 봉합에 적지 않은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루비오 장관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사안에 대해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입장을 완고하게 고수했으나, 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대해서는 동맹의 입장을 우선해 듣는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G7 외교장관들이 이번 회의에서 겨우 연출한 통합은 트럼프 대통령이 연일 쏟아내는 말 폭탄과 관세 위협을 잠시 외면한 결과일 뿐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3일에도 "우리는 캐나다가 가진 어떤 것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며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삼겠다는 구상을 재차 역설한 바 있다.
장재선 전임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