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넘은 탄핵찬반 폭력

음모론 씌워 온라인 신상털이
오프라인 찬반진영 집회 격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가 이번 주로 예상되는 가운데 17일 탄핵 찬·반 진영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위험 수위를 넘나드는 폭력 조장과 선동을 계속하고 있다. 이런 온라인상 폭력적 문화가 선고 당일 극단적 집단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음도 커지고 있다.

경찰은 서울서부지법과 헌법재판소 등을 겨냥한 온라인상 협박 글 177건에 대해 수사를 벌이는 한편 헌법재판관들과 서부지법 판사들에 대한 신변보호 조치에 나섰다.

이날 경찰청에 따르면 서부지법과 헌재 등을 대상으로 폭동을 모의하거나 위해를 선동하는 등의 글 177건을 대상으로 수사에 착수, 현재까지 25명이 검거되고 이 중 1명은 구속됐다. 그 밖에도 14명의 신원이 특정된 상태다. 헌법재판관 등에 대한 경호 조치도 강화됐다. 경찰 관계자는 “헌법재판관 전원, 서부지법 판사 3명에 대해 신변보호를 하고 있다”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신변보호 요청을 접수해, 당 측과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탄핵 반대 진영에선 ‘파묘’란 이름으로 헌법재판관과 수사기관 관계자에 대한 신상털이식 인신공격을 벌이고 있다. 살해 협박, 테러 모의도 현재진행형이다. 최근 “(윤 대통령 직무 복귀가) 안 되면 몇몇 죽이고, 분신하겠다” “문형배(헌재 소장 권한대행)가 이상한 짓을 할 경우 변장을 하고 잔인하게 죽이겠다”는 글을 쓴 유튜버 유모 씨가 신고당한 이후에도 헌재 앞을 버젓이 활보해 논란이 일었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극과 극은 통한다는 말처럼 양 진영의 극단주의자들이 서로 닮아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허창덕 영남대 사회학과 교수도 “정치권이 대화보다 갈등을 조장하는 모습을 국민이 그대로 답습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과거 탄핵 사례에 비해 국민 분열이 한층 커 사태 수습이 어려울 거란 우려도 나왔다. 조진만 덕성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적대적인 감정적 양극화가 지속하면서 집회 분위기가 더 삼엄해지고, 폭력 사태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거리에서는 과격한 주장과 선동이 난무하는 탄핵 집회 열기가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윤 대통령이 파면될 때까지 매일 탄핵 촉구 집회를 열겠다고 밝힌 퇴진비상행동은 오는 22일 전국동시다발 ‘200만 범시민총궐기’를 연다. 야5당과 촛불행동은 이날 오후 광화문 인근에서 각각 탄핵 촉구 집회와 촛불문화제를 연다.

탄핵 반대 측에서는 탄핵반대범국민연합이 이날 오전, 자유통일당과 엄마부대가 오후에 집회를 연다. 앞서 주말인 지난 15~16일에는 서울 도심에서 열린 탄핵 찬·반 집회에 총 11만 명이 몰렸다.

조재연·노수빈·이재희 기자

관련기사

조재연
노수빈
이재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