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 영암 4건·무안 1건 발생
인접 10㎞까지 백신 접종 확대
경북·충남, 소독·항체검사 주력
농식품장관, 현장찾아 대책회의
전남, 특별 교부세 지원 등 건의
안동=박천학·무안=김대우 기자, 전국종합
국내에서 1년 10개월 만에 구제역이 발생하면서 방역 당국과 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방역 당국이 설정한 방역대를 벗어난 지역에서 구제역이 확진되자 지방자치단체마다 일제 백신 접종 및 소독과 함께 축산농가의 모임을 금지하도록 지도하는 등 차단 방역을 강화하고 나섰다. 구제역은 소, 돼지, 염소 등 발굽이 두 개인 동물(우제류)에서 발병하는 바이러스성 가축 전염병으로 전염성이 강해 국내에선 제1종 가축 전염병으로 지정돼 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17일 전남도청을 찾아 김영록 전남지사, 농협 축산경제대표 등과 함께 전남도 방역 대책을 논의했다. 전남도는 송 장관에게 구제역 방역 특별교부세 지원을 건의했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지난 13일 영암의 한 한우농장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이날 오전 기준 영암 4건, 무안 1건 등 전남에서 모두 5건의 확진 사례가 확인됐다. 무안에서 발생한 구제역은 방역 당국이 처음 확진된 영암의 한우농장으로부터 설정한 방역대(3㎞)를 벗어난 곳이어서 추가 확산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방역 범위를 반경 10㎞까지 넓혀 백신을 접종 중이며, 16일 기준 75% 완료한 상태다. 전남 도내 전체 백신 접종률(접종대상 168만1000마리)은 42%다. 영암군과 인접 9개 시군(강진·나주·목포·무안·장흥·해남·화순·함평·신안)은 구제역 비상대응 ‘심각’ 단계가 발령 중이다.
경북도는 구제역 바이러스 유입 방지를 위해 지난달 종료한 ‘구제역 방역상황실’ 운영을 재개했다. 애초 소·염소를 대상으로 한 상반기 일제 접종(4월 1~30일)을 앞당겨 오는 22일까지 완료하기로 했다. 또 축산농가에 행사와 모임을 금지하고 농장 출입 시 가축, 사람, 차량 등에 대한 소독을 철저히 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경북은 사육 소(76만5000마리)가 전국에서 가장 많고, 돼지도 127만2000마리로 전국 4위 규모다.
전북도도 백신 접종을 앞당기는 한편 축협 공동방제단(46개 반)을 활용해 구제역 취약지역의 도로변과 인근 농장 주변을 대상으로 집중 소독에 나섰다. 충남도는 이달 말까지 백신을 접종한다. 4주 후 지역별 구제역 백신 항체 양성률을 검사할 계획이다.
한편, 국내에서 구제역으로 가장 큰 피해가 난 시기는 지난 2010년 11월부터 이듬해 4월이다. 당시 경북 안동에서 처음 발생한 뒤 전국적으로 확산해 347만9000여 마리의 우제류가 살처분되는 등 축산농가가 초토화된 바 있다. 올해 구제역은 2023년 5월 충북지역 농장에서 발생한 이후 1년 10개월 만에 확인됐다.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