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시위대가 탄핵 반대 시위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1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시위대가 탄핵 반대 시위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이르면 이번 주로 전망되고 있지만, 찬탄(탄핵 찬성)·반탄(탄핵 반대) 양 진영의 극단 세력 커뮤니티에서는 벌써 ‘불복 투쟁’ 시나리오가 거론되고 있다. 반탄 측에서는 탄핵 인용 시 윤 대통령 복권 운동과 ‘국회 해산 시민항쟁’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찬탄 측에서는 기각 시 ‘1000만 초대형 집회’를 열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18일 윤 대통령 극렬 지지자 500여 명이 활동 중인 한 SNS 채팅방에선 "탄핵 인용일부터 노동자는 파업을, 학생들은 수업 거부를 결의하고 거리로 나와 몇 주, 몇 달을 아스팔트 위에서 싸울 각오를 해야 한다"는 관리자의 글이 올라왔다. "기각되더라도 선고 즉시 국회 해산 시민항쟁에 돌입해야 한다"는 지시도 이어졌다. 이에 "인용 나오면 헌법재판소 쳐들어간다" "순교하겠다" 등 참여자들의 과격한 반응이 오갔다. 청년 보수단체 한 관계자는 "탄핵이 인용되더라도 윤 대통령 복권을 목표로 시국선언과 기자회견, 집회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탄핵 촉구 집회 참여를 독려하고 있는 한 찬탄 채팅방에는 탄핵 인용 시 한남동 윤 대통령 관저 앞 시위를 주장하며 ‘윤 대통령 예상 도주로’ 자료를 공유하는 글이 올라왔다. 인용 여부와 상관없이 ‘국민의힘 해체’ 운동을 이어가야 한다는 주장도 올라왔다. "기각될 경우 1000만 명이 거리로 나가야 한다"며 불복 집회를 주장하는 글에는 "그런 나라에선 못산다. 시민 힘을 보여줘야 한다" 등 반응이 이어졌다. "극우가 (탄핵 인용 불복) 내전을 일으킨다면 우리가 제압해야 한다. 피로 혁명을 이루자"는 글도 큰 호응을 얻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한국 정치 특성인 팬덤 문화가 극단적 형태로 진화하면서 ‘적과 동지’라는 이분법적 시각으로만 정치를 바라보면서 생기는 현상"이라며 "미 대선 직후인 2021년 도널드 트럼프 대선 후보의 지지자들이 선거 결과에 불복해 국회의사당에 난입했던 ‘1·6 사태’ 때와 유사한 폭력 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이재희 기자
이재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