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부터 복귀등록 시한 도래
“동맹휴학 불허” 입장 의견 모아
의대생 미복귀땐 ‘제적’ 가능성
교수들, 학생에 ‘날선비판’ 지속
“현재 투쟁방식 정의롭지 못해”
‘동맹 휴학’ 중인 의대생들의 복귀 등록 시한이 오는 21일부터 줄줄이 마감되는 가운데 의대가 있는 전국 대학 총장들이 의대생들이 낸 추가 휴학계를 받아들이지 않고 반려하자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동맹 휴학 수용 불가라는 원칙 고수로 의대생들의 복귀를 최대한 압박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복귀하지 않은 의대생들이 학칙에 따라 제적되면 일반대학생을 예과 등에 편입시키는 방안도 검토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18일 문화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동아대, 전북대 등 의대가 있는 대다수 대학 총장들은 의대생들이 제출한 휴학계 중 학칙에서 인정하는 사유 외 휴학계를 더 이상 받아주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다. 사실상 더 이상의 ‘동맹 휴학’은 안 된다고 선을 그은 셈이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교육부가 의대생 휴학 승인을 해주지 않겠다고 선언한 만큼 휴학을 승인해주면 대학이 책임을 물어야 하는 상황”이라며 “대학 총장으로서는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해야 하므로 휴학계를 반려하는 쪽으로 의견이 모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휴학계가 반려된 상태에서 등록하지 않으면 의대생들의 ‘줄제적’이 현실화할 전망이다. 이 경우 일부 대학들은 제적된 정원만큼을 학사편입으로 채우는 방안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 학생들의 휴학이 장기화하면서 대학들이 재정적 피해가 큰 상황인 만큼 대안으로 검토되고 있는 것이다. 한 대학 관계자는 “대학마다 편입 요건은 다르지만, 결원이 나오면 편입은 가능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의대생 전원 복귀 시한을 앞두고 의대 교수들도 강경파 의대생과 사직 전공의들을 날 서게 비판하면서 압박하고 나섰다. 강희경·오주환·하은진·한세원 서울대의대 교수는 전날 성명서를 내고 “현재의 투쟁 방식과 목표는 정의롭지도 않고, 사회를 설득할 수도 없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의사 커뮤니티 글과 기사 댓글 등에는) 환자에 대한 책임도, 동료에 대한 존중도, 전문가로서의 품격도 찾아볼 수 없는 말들이 넘쳐난다”고도 했다. 이어 “의사 면허 하나로 전문가 대접을 받으려는 모습도 오만하기 그지없다”며 “의료 시스템 개선을 위한 로드맵도, 설득력 있는 대안도 없이 1년을 보냈다”고 지적했다. 또 사직과 휴학을 스스로 선택한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아닌, 이들이 1년간 외면한 환자와 그 가족들을 의정갈등 피해자라고 규정했다. 성명서가 나온 직후 의료계 내부 비난도 이어졌다. 강경투쟁을 주도하고 있는 박단 대한의사협회(의협) 부회장은 이날 SNS에 ‘교수라 불릴 자격도 없는 분들께’란 글을 올리고 반박했다. 의료단체 미래의료포럼도 입장문을 내고 “전공의들이 수련을 포기하고 병원을 떠나 있을 때 이들 교수는 어디서 무엇을 했는가”라며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김현아·권도경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