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노인 연령 조정 필요성 지적


현재 70세가 12년 전의 65세와 같은 수준의 건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이윤환 아주대의료원 노인보건연구센터 교수는 18일 보건복지부가 스페이스쉐어 서울역에서 연 제3차 노인연령 전문가 간담회에서 발제자로 나와 "건강 노화를 고려할 때 현재 70세는 예전 65세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 교수는 보건의학적 관점에서의 적정 노인연령을 살펴보기 위해 ‘건강노화’ 개념을 사용했다.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보내는 기간을 가리키는 ‘건강수명’과 유사한 개념으로 여기에 신체 기능 상태를 더 반영했다.

실제 2011년과 2023년의 신체 기능 장애율을 분석한 결과 고령자의 중증 장애 비율은 65~69세의 경우 4.2%에서 2.4%로, 70~74세는 4.9%에서 4.4%로 줄었다. 요즘 70대의 기능 상태가 12년 전보다 더 좋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특히 이 교수는 세부 연령별로 비교했을 때는 2023년 70세의 기능 상태가 2011년 65세와 비슷한 수준이었다고 전했다. 기능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건강노화지수는 12년 사이 평균 1점 증가했는데, 2011년 당시 65세의 건강노화지수(10.88)와 유사한 연령대는 2023년엔 72세(10.81)였다.

이에 따라 이 교수는 아울러 현재 65세인 노인 연령 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건강 수명이 평균 72.5세(2020년)로 나타나고, 노인들이 생각하는 노인 연령 기준이 71.6세(2023년도 노인 실태 조사)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다만 이날 간담회의 또 다른 발제자인 권정현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건강 수준에 뚜렷한 격차가 존재한다"며 "노인 연령 조정에 있어 고령 집단 내 이질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임정환 기자
임정환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