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이 20일 서울 중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서 열린 윤석열 즉각 파면! 민주노총 총파업·총력투쟁 선포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이 20일 서울 중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서 열린 윤석열 즉각 파면! 민주노총 총파업·총력투쟁 선포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27일 이후에도 헌재 선고 날짜 지정될 때까지 매주 목요일 하루 단위 총파업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가 미뤄지는 가운데, 민주노총이 헌법재판소가 오는 26일까지 선고 일정을 확정하지 않는다면 27일 총파업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민노총은 20일 서울 서대문구 민노총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27일 이후에도 헌재의 선고 날짜가 지정될 때까지 매주 목요일마다 하루 단위 총파업을 벌일 예정이다.

민주노총은 “정치적 불확실성과 사회적 혼란으로 한국사회는 방향을 잃은 채 표류하고 있다. 내외의 위기가 중첩되고 경제는 망가지고 민생은 위기에 몰렸는데 국민을 책임지는 세력이 없다”며 “현재의 혼란을 끝내고 헌정질서를 회복하는 결정을 해야 할 헌법재판소가 파면 선고를 미루면서 혼란은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한민국 국민 누구도 헌법재판소가 왜 파면 결정을 미루고 있는지 납득할 수 없다”며 “작년 12월 3일 밤 윤석열의 광기 어린 계엄령선포 담화와 계엄군이 국회에 난입하는 현장을 지켜본 사람 누구도 탄핵과 파면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다만 민주노총은 현재 파업을 할 수 있는 쟁의권을 가진 사업장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노총 간부 중심으로 연차 등을 사용한 소규모 파업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선고 결과에 따른 이후의 투쟁 여부는 별도로 정할 방침이다.

양경수 민노총 위원장은 “이번에 결정한 파업의 목적은 헌재가 선고 일정을 신속하게 잡으라는 것”이라며 “총파업일을 27일로 결정한 것은 선고가 다음 주 중에는 돼야 한다는 의사 표현”이라고 말했다.

임정환 기자
임정환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